본문 바로가기

역사165

제5대 경종 - 경종의 어린 시절과 등극 및 복수법과 전시과,왕주, 왕승 고려 제5대 국왕 경종(景宗, 955 ~ 981)은 광종과 대목왕후 황보씨 사이에 태어난 장남으로 이름은 주(伷)이다. 그의 재위기간은 975년 7월부터 981년 8월 사망할 때까지 6년 2개월이다. 경종은 후삼국 통일 이후에 태어나 왕이 된 첫 번째 군주로 20살에 왕이 된다. 그는 어린 시절 삼촌 정종과 아버지 광종의 피의 숙청을 직접 눈으로 보고 공포와 두려움 속에서 지내왔다. 즉위한 후에는 마음이 굳세지 못하여 신하들에게 휘둘리다가 정사를 잘 돌보지 못하였으며, 음주가무를 좋아하며 지내다 결국 26살에 요절한 청년군주이다.  경종의 어린 시절과 등극· 어린 시절광종은 호족들이 태자 왕주(훗날의 경종)를 등에 업고 반란을 일으킬까 항상 의심하고 야단을 친다. 심지어 광종은 하나 남은 친아들 태자마저.. 2025. 3. 3.
제4대 광종 - 공포정치과 개혁정치 및 노비안검법과 과거제도, 쌍기, 균여 고려 제4대 국왕 광종(光宗, 925 ~ 975)은 태조 왕건과 신명순성왕후 유씨 사이에 태어난 태조의 넷째 아들로 이름은 소(昭)이다. 그의 재위기간은 949년 4월 친형인 정종으로부터 왕위를 선양받아 975년 7월 사망할 때까지 26년 3개월이다. 광종은 정적인 호적들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 과거제도, 관료의 관복의 색깔을 정하는 등 강력한 왕권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따라서 그는 피의 군주인 동시에 실질적인 고려 왕조의 기틀을 만든 성군이기도 하였다.  광종의 출생과 등극· 출생과 어린 시절 광종은 태조 왕건과 신명순성왕후 유씨 사이에 태어난 태조의 넷째 아들이며, 정종의 친동생으로 이름은 소(昭)이다. 왕소는 어린 시절 형인 정종과 함께 이복형 혜종의 왕권을 위협하던 핵심인물이었으며, 평주 호.. 2025. 3. 2.
제3대 정종 - 서경천도 계획과 광군 창설, 불명경보와 광학보, 경춘원군 고려 제3대 국왕 정종(定宗 923 ~ 949)은 태조 왕건과 신명순성왕후 유씨 사이에 태어난 태조의 셋째 아들로 이름은 요(堯)이다. 왕요는 945년 9월에 서경의 왕식렴의 도움으로 정변을 일으켜 성공한다. 10월 혜종이 원인 모를 병으로 죽자 왕요는 23세의  젊은 나이로 보위에 올라 고려 제3대 국왕 정종이 된다. 정종은 945년 10월부터 949년 4월까지 3년 7개월 동안 재위하다가 동생 광종에게 보위를 물려주고 27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는 비운의 청년 군주라고 할 수 있다. 정종의 등극· 왕위계승 싸움혜종의 측근으로는 박술희, 최지몽 등 혜종의 외가인 나주 출신들이 있었고, 혜종을 가장 위협했던 인물로는 태조 왕건에게 자신의 두 딸을 시집보낸 태조 왕건의 장인인 왕규가 있었다. 왕규는 자신의.. 2025. 2. 28.
제2대 혜종 - 거란 견제를 위한 후진과의 외교정책 및 왕규의 반란과 왕식렴 고려 제2대 국왕 혜종(912 ~ 945)은 태조 왕건과 제2비 장화왕후 오씨 사이의 아들로 이름은 무(武)이다. 제1비 신혜왕후 유씨는 아들이 없었으므로, 태조 왕건이 사망하자 25명의 태조의 아들 중에 장남으로 후삼국 통일전쟁에 혁혁한 공을 세운 그가 보위를 이어 왕이 된다. 혜종은 943년 7월부터 945년 10월까지 재위기간 2년 3개월 만에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사망을 하고 만다. 혜종의 통일전쟁· 혜종의 어린 시절혜종은 태조 왕건과 제2비 장화왕후 오씨 사이의 장남으로 왕건이 수군을 이끌고 나주 지역에 주둔할 때 나주 지역의 호족 다련군의 딸인 장화왕후 오씨와 인연을 맺어 나은 아들로 이름은 무(武)이다. 왕무는 10세인 921년 정윤으로 태자에 책봉된다. 혜종은 태자시절 군사를 잘 지휘.. 2025. 2. 27.
제1대 태조 왕건 2 - 왕건의 가족과 사망 그리고 통치 이념, 도선국사 고려사는 조선 전기에 기전체로 편찬된 고려 왕조의 역사로 태조 왕건에서 공양왕까지 476년에 걸친 34명의 국왕에 대한 삶과 업적 등을 정사이다. 당시 국제적인 정세로 중앙아시아는 이슬람제국이 융성하였으며, 중국에서는 당나라가 동아시아를 지배하였고, 한반도에서는 신라와 발해가 쇠퇴하면서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여 후삼국을 통일한다. 그 후 중국대륙은 당나라가 망하고 5대 10국을 거쳐 송, 요, 금, 원, 명으로 이어진다. 고려 때는 거란, 몽고, 홍건적 등 외세의 침입을 받게 된다. 여기에서는 태조 왕건의 가족과 사망 그리고 통치이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태조 왕건의 가족과 사망· 가족태조 왕건은 제1비 신혜왕후 유씨와 제2비 장화왕후 오씨는 왕건이 즉위 이전에 결혼을 하였고, 제3비 신명순성왕후.. 2025. 2. 27.
제1대 태조 왕건 1 - 고려 건국과 후삼국 통일,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고려사는 조선 전기에 기전체로 편찬된 고려 왕조의 역사로 태조 왕건에서 공양왕까지 476년에 걸친 34명의 국왕에 대한 삶과 업적 등을 정사이다. 당시 국제적인 정세로 중앙아시아는 이슬람제국이 융성하였으며, 중국에서는 당나라가 동아시아를 지배하였다. 한반도에서는 신라와 발해가 쇠퇴하면서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여 후삼국을 통일한다. 그 후 중국대륙은 당나라가 망하고 5대 10국을 거쳐 송, 요, 금, 원, 명으로 이어진다. 고려 때는 거란, 몽고, 홍건적의 침입을 받게 된다. 여기에서는 태조 왕건의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왕건의 등장· 출생과 집안태조 왕건(太祖 王建 877 ~ 943)은 송악(지금 개성)의 호족인 아버지 용건(왕융으로 개명)과 어머니 위숙왕후 한씨 사이에.. 2025.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