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160 제27대 충숙왕 - 출생과 즉위, 원의 간섭과 내정의 혼란, 치세, 가족과 사망 고려 제27대 국왕 충숙왕(忠肅王, 1294 ~ 1339)은 충선왕과 의비 예쉬진의 차남으로 이름은 강릉대군 도(燾)이다. 재위기간은 1313년 ~ 1330년, 1332년 ~ 1339년으로 두 차례 즉위한다. 충선왕은 사망하면서 강릉대군 왕도에게는 고려 왕의 자리를 물려주고, 조카인 연안군 왕고에게는 심양왕과 고려 세자의 자리를 물려준다. 그 결과 복국장공주의 사망하자 사촌형 심양왕의 무고로 원나라에 소환되어 고초를 당한다. 이에 정사에 염증을 느낀 나머지 아들 충혜왕에게 양위하였다가 2년 만에 다시 복위한다. 출생과 즉위· 출생충숙왕(忠肅王, 1294 ~ 1339)은 충선왕과 의비 예쉬진 사이의 차남으로 이름은 강릉대군 도(燾)이다. 1294년 5세 때 강릉대군을 책봉된다. · 즉위부왕 충선왕은 심.. 2025. 4. 4. 제26대 충선왕 - 생애와 즉위 및 사망과 가족, 사림원, 만권당, 계국대장공주 고려 제26대 국왕 충선왕(忠宣王, 1275 ~ 1325)은 충렬왕과 제국대장공주(장목왕후)의 장남으로 이름은 장(璋)이다. 충선왕은 1298년 3월 왕위에 올랐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7개월 만에 퇴위하고 충렬왕이 다시 복위한다. 이후 원나라에서 심양왕으로 활동하며 원 황실과의 관계를 강화했고, 부왕 충렬왕이 사망하자 1308년 9월 다시 고려 왕위에 복귀하여 1313년 4월까지 재위한다. 권문세족의 권력 독점을 막기 위해 정방을 폐지하고 사림원을 설치하는 등 개혁을 시도하였으며, 만권당을 설립하여 원과의 학문과 문화 교류를 촉진한다. 후반에는 아들 충숙왕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원나라에서 독서와 학문 연구에 전념한다. 이렇듯 충선왕은 고려의 정치적, 문화적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개혁적이고 학문을 중.. 2025. 4. 1. 제25대 충렬왕 - 출생과 즉위, 몽골의 일본원정, 치세 및 사망과 가족, 일연 고려 제25대 국왕 충렬왕(忠烈王, 1236 ~ 1308)은 원종과 정순왕후 김씨의 장남으로 이름은 심(諶)이다. 재위기간은 1274년 7월부터 1308년 8월까지 14년 중에 7개월이 빠진 33년 5개월이다. 충렬왕은 원나라 공주와 혼인하여 부마국으로 고려의 자주성 유지하며 외교적 안정을 도모한다. 고려의 관제를 개편하고 중앙집권화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군사력을 강화하여 왜구와 여진의 침입을 격퇴하며, 정동행성을 설치하여 2차에 걸친 몽고의 일본 원정을 지원한다. 또한 자비령 이북(서경) 지역과 탐라(제주)를 원나라로부터 돌려받아 고려의 영토를 회복한다. 출생과 즉위· 출생과 즉위 전 충렬왕(忠烈王, 1236 ~ 1308)은 원종과 정순왕후 김씨의 장남으로 본명은 왕거(王昛)이며, 초명으로는 왕심(王.. 2025. 3. 31. 제24대 원종 - 출생과 즉위 및 무신정권의 종식, 삼별초의 항쟁, 사망과 가족 고려 제24대 국왕 원종(元宗, 1219 ~ 1274)은 고종과 안혜왕후 유씨의 장남으로 이름은 식(植)이다. 즉위기간은 1260년 6월부터 1274년 7월까지 14년 1개월이다. 그러나 1269년 6월부터 1269년 12월까지 5개월간은 무신 임연이 원종을 폐하여 동생 안경공 왕창이 왕이 되었으나 원 쿠빌라이의 간섭으로 다시 원종이 복귀한다. 원종은 태자 때 몽고에 인질이 되었으나 원의 황제 계승 싸움에 쿠빌라이를 지지한다. 부왕 고종이 사망하자 후에 황제가 되는 쿠빌라이의 지원으로 고려왕에 오른다. 몽골과의 전쟁을 끝내고 강화조약을 체결하고, 태자 왕심(충렬왕)을 원의 공주와 혼인시켜 부마국이 된다. 1270년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환도하였으며, 삼별초의 난을 진압하고 내부의 혼란을 정리한다. 이와 같.. 2025. 3. 29. 제23대 고종 2 - 몽고의 침략과 여몽전쟁 및 고종의 사망과 가족, 김윤후 고려 제23대 국왕 고종(高宗, 1192 ~ 1259)은 강종과 원덕왕후 유씨의 장남으로 이름은 철(㬚)이다. 고종은 45년 10개월이라는 고려 역사상 가장 오래 동안 재위한 왕으로, 통치 기간 내내 최충헌 → 최우 → 최항 → 최의로 이어지는 최씨 무신정권이 실권을 장악하였으며, 28년 동안 9차례에 걸친 몽고의 침략으로 전국토가 황폐화되고 약탈과 도륙이 자행되었다. 그러나 고종은 몽고에 대항하기 위해 팔만대장경을 만들고 수도를 개경에서 강화도로 천도를 한다. 고종은 정치적 실권은 없었지만 몽골의 침략 속에서 고려의 존속을 유지하려고 노력한 군주로 평가받고 있다. 몽고의 침략과 여몽전쟁· 개요고려에서는 무신정변으로 정치적 혼란이 거듭할 때 대륙에서는 1188년 몽고 보르지긴족의 후예인 예수게이의 아들.. 2025. 3. 27. 제23대 고종 1 - 생애와 즉위 및 거란의 침공, 강동성 전투, 최씨 무신정권 고려 제23대 국왕 고종(高宗, 1192 ~ 1259)은 강종과 원덕왕후 유씨의 장남으로 이름은 철(㬚)이다. 고종은 45년 10개월이라는 고려 역사상 가장 오래 동안 재위한 왕으로, 그의 통치 기간 내내 최충헌 → 최우 → 최항 → 최의로 이어지는 약 62년간 최씨 무신정권이 실권을 장악하였으며, 28년 동안 9차례에 걸친 몽고의 침략으로 전국토가 황폐화되고 약탈과 도륙이 자행되었다. 또한 고종은 몽고에 대항하기 위해 팔만대장경을 만들고 수도를 개경에서 강화도로 천도를 한다. 이와 같이 고종 때는 고려 역사상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로 고종은 정치적 실권은 없었지만 몽골의 침략 속에서 고려의 존속을 유지하며 중요한 결정을 내린 군주로 평가받고 있다. 무신정권 시대 국제정세· 몽고의 등장고려에서는 무신정변으.. 2025. 3. 27. 이전 1 2 3 4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