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167 진나라 재상 '오고대부 백리해' 생애와 업적, 순망치한, 진혜왕, 진문공 진나라의 재상 오고대부 백리해는 30세에 공부를 시작하여 40년간 여러 나라를 전전하며 고생한다. 70세에 진목공을 만나 등용되어 진나라의 명재상으로 활약하게 된다. 그는 건숙, 유어 등 능력 있는 인재를 진목공에게 추천하여 나라의 기초를 탄탄히 다지게 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재상 백리해의 도움으로 진목공은 서융지역의 패자가 된다. 그리고 유랑생활, 노비로서의 생활, 초나라에서 소 키우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이야기, 진목공을 만나 재상이 되는 이야기 등을 오고대부 백리해와 진(秦) 목공과의 관계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정말 인생역전, 인간승리의 산증인이 되는 백리해의 이야기는 요즈음 현대인에게는 많은 울림을 준다. 출생과 유랑생활 백리해는 우나라 사람이다. 그는 소 키우는 목축을 잘하고 좋아했다. 그.. 2023. 11. 15. 춘추오패 서융의 패자 '진(秦) 목공'과 백리해, 건숙, 유여 진목공은 고대 진나라 군주로서 후의 진시황의 조상이다. 그는 당시 강대국이었던 진나라 헌공의 딸 목희(백희)와 화친정책으로 힘을 키워 종주국 주나라의 낙양천도를 도운 공으로 주나라 땅을 하사 받아 강대국이 된다. 그 후 동으로는 강력한 진(晉) 나라를 굴복시키고, 서로는 융 지역을 차지하여 춘추오패로 등극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인재를 구하는 데에 최선을 다하는 어진 군주 진목공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생애 진목공(秦穆公 BC ? ~ 621)은 성공의 동생인데 형제상속으로 왕이 된다. 그는 초기에는 힘이 약해 당시 강력한 진(晉) 나라 헌공과의 화친정책으로 진헌공의 딸 목희(백희)와 결혼하게 된다. 화친정책으로 힘을 키워 주나라의 낙양천도를 도운 공으로 주나라 땅을 하사 받아 서융의 패자가 되어 강대국.. 2023. 11. 15. 세번째 춘추오패 송양지인 '송양공'과 홍수전투, 계절존망, 존왕양이 춘추시대에는 '존왕양이(尊王攘夷 : 주왕을 숭상하고 외부의 오랑캐를 배척하는 것)', '계절존망(繼絶存亡 : 망해가는 주나라의 종묘와 국통을 다시 이어 줌) 이 두 가지가 가장 중요한 대의명분이다. 이것을 가장 잘 지킨 패자정치의 대표적인 인물로 송양공을 꼽고 있다. 그는 지나치게 명분을 추구하다가 현실성이 없는 이상에 빠진다. 심지어 전쟁 중에도 명분에 치우쳐 부상을 당해 자신의 목숨까지도 잃게 된다(홍수 전투). 후세 사람들은 이러한 송양공을 가리켜 '송양지인(宋襄之仁 : 지나치게 인정이 많아 오히려 자신이 손해를 보는 것, 현실성 없는 이상에 빠진 사람을 가리키는 사자성어)'이라고 한다. 여기에서는 세 번째 춘추오패 송양공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송양공의 생애 송양공이 왕위에 오른 후 얼마되지 .. 2023. 11. 14. 춘추오패 방랑자 진(晉) 문공, 여희, 1룡 5사, 개자추와 한식, 성복전투 중국 춘추시대 진(晋) 나라 문공은 아버지 헌공으로부터 추방당하여 어머니의 나라(적족땅)로 도망간다. 5명의 가신과 같이 19년 동안 여러 나라로 도망 다니며 유랑생활을 하게 된다. 생사고비를 다 넘긴 후 의형제 진목공의 도움으로 62세에 고국 진나라로 돌아와 왕이 된다. 진문공은 사람을 사귀는 데 있어서 믿음(信)을 중요시하기에 그를 위해 목숨까지도 바치는 많은 신하들이 있었다. 그러한 신하들의 도움으로 그는 춘추오패(제환공, 진목공, 송양공, 진문공, 초장왕)가 된다. 여기에서는 춘추오패에 등극한 방랑자 진문공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출생과 왕위계승 싸움 진문공은 복잡한 가계로 왕위계승 다툼에 휘말리게 된다. 그의 가계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진 문공(晋文公 중이, ? ∼ BC 628)은 진나라.. 2023. 11. 14. 위대한 사상가 공자와 육경, 유가사상 논어, 군자삼락, 극기복례 공자(孔子BC 551~BC479, 공부자)는 유교의 시조이자 문학가, 정치가, 사상가로 활동하였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 춘추시대이다. 이 시기는 약육강식 전쟁의 혼란한 시기이며, 주나라 중심의 봉건제도에서 중앙집권제도로 넘어가는 과도기이다. 그는 무너져 가는 주나라의 예법(주례)을 회복하여 세상을 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는 당시의 군주들에게는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우리는 여기에서는 공자의 생애, 공자의 사상, 그리고 에 나오는 공자의 가르침 그리고 후세사람들의 평가를 통하여 '위대한 사상가 공자와 유가사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공자의 생애 그는 노나라에서 서자로 태어났다. 이름은 구, 자는 중니이다. 3살 때 아버지가 죽은 후 어머니 마저 눈이 멀어버려 어려운 가정형편에서 어린 시절을 지낸.. 2023. 11. 13. 노자의 도덕경과 무위자연사상, 공수신퇴 천지도, 도가도비상도 우리는 여기에서 노자의 과 무위자연사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노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사마천의 에 나오는 인물을 살펴보면 세 명으로 보인다. 1. 초나라 사람 이이(李耳, 자는 담(聃=老聃)으로 을 지은 사람, 2. 공자와 같은 시대 사람인 책 15권을 쓴 노래자(老萊子), 3. 진(秦) 나라의 헌공과 회담한 사람인 주나라 태사담으로 이렇게 세 명으로 나오고 있다. 따라서 노자는 한 사람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숨어 살아가는 은둔자를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후세의 시인이나 화가들은 '노자출관도'(노자가 주나라의 벼슬을 내려놓고 소를 타고 국경 지역 함곡관을 지나 산속으로 은둔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를 많이 그렸다. '노자가 세상을 떠나 어디로 가는 것인지?', '물러날.. 2023. 11. 12. 이전 1 ··· 24 25 26 27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