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감상/인문학17 톰 필립스의 인간의 흑역사5 - 모크테수마, 코르테스, 정화, 아타우알파 톰 필립스의 는 지구상에 인류가 등장한 이래 인간이 저지른 바보짓과 실패에 대해 10개의 주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이다. 작품은 제1장 '우리 뇌는 바보'로 시작하여 제10장 '미래를 못 내다본 실패의 간략한 역사'로 끝나고 있다. 작가는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똑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라고 주장한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제8장 '바보와 현직 대통령들도 알 수 있을 만큼 쉽게 푼 외교 이야기', 제9장 '신기술에 열광하다', 제10장 '미래를 못 내다본 실패의 간략한 역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제8장 '바보와 현직 대통령들도 알 수 있을 만큼 쉽게 푼 외교 이야기' · 모크테수마와 에르난 코르테스아즈텍 제국의 마지막 황제 모크테수마는 1502년부터 1520년까지 제국을 통치.. 2024. 11. 19. 톰 필립스의 인간의 흑역사4 - 하라파, 피터스버그, 디엔비엔푸, 다리엔 계획 톰 필립스의 는 지구상에 인류가 등장한 이래 인간이 저지른 바보짓과 실패에 대해 10개의 주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이다. 작품은 제1장 '우리 뇌는 바보'로 시작하여 제10장 '미래를 못 내다본 실패의 간략한 역사'로 끝나고 있다. 작가는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똑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라고 주장한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제6장 '전쟁은 왜 하나요', 제7장 '식민주의의 화려한 잔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제6장 '전쟁은 왜 하나요'BC 5,000년 인더스 강 유역에 하라파문명은 인구가 수백만 인 사회를 이루고 있었지만, 700년 동안 전쟁을 하지 않고 평화롭게 살았다. 다음은 인류가 저지르는 바보 같은 실수 투성이 전쟁의 흑역사에 대하여 살펴보자. · 카디스 전투 1625년 .. 2024. 11. 18. 톰 필립스의 인간의 흑역사3 - 진시황, 루트비히 2세, 루흐바나, 빌헬름 2세 톰 필립스의 는 지구상에 인류가 등장한 이래 인간이 저지른 바보짓과 실패에 대해 10개의 주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이다. 작품은 제1장 '우리 뇌는 바보'로 시작하여 제10장 '미래를 못 내다본 실패의 간략한 역사'로 끝나고 있다. 작가는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똑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라고 주장한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제4장 '지도자를 따르라', 제5장 '대중의 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제4장 : 지도자를 따르라어리석은 지도자들· 진나라 진시황BC 222년 진나라의 진시황은 전국시대 7개 나라를 하나로 통일한다. 진시황은 불로장생하기 위해 동쪽으로 동남동녀를 보내 '불로초 찾기 대작전'을 펼친다. 그러나 결국 구하지 못한 진시황은 수은 중독으로 사망하게 된다. · 명나라 .. 2024. 11. 17. 톰 필립스의 인간의 흑역사2 - 더스트 볼, 모아이 석상, 데드 존, 나일 퍼치 톰 필립스의 는 지구상에 인류가 등장한 이래 인간이 저지른 바보짓과 실패에 대해 10개의 주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이다. 작품은 제1장 '우리 뇌는 바보'로 시작하여 제10장 '미래를 못 내다본 실패의 간략한 역사'로 끝나고 있다. 작가는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똑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라고 주장한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제2장 '아, 좋았던 환경이여', 제3장 '생명은 살 길을 찾으리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제2장 '아, 좋았던 환경이여' 인류는 13,000년 전 메소포타미아 초승달 지대에서 농경을 시작함으로써 과거 수렵채취 시기 보다 더 심하게 부의 불평등이 생기고, 전쟁과 질병, 전영병 등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호모 사피엔스는 지적인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인류는.. 2024. 11. 16. 톰 필립스의 인간의 흑역사1 - 루시, 확정편향, 선택지편향, 더닝 크루거 효과 톰 필립스의 는 지구상에 인류가 등장한 이래 인간이 저지른 바보짓과 실패에 대해 10개의 주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이다. 작품은 제1장 '우리 뇌는 바보'로 시작하여 제10장 '미래를 못 내다본 실패의 간략한 역사'로 끝나고 있다. 작가는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똑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라고 주장한다. 인류의 역사를 살펴보면 정말로 인간은 바보스럽게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저지르고 있다. 톰 필립스의 작품 를 지면관계상 몇 차례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제1장 '우리 뇌는 바보'에 대하여 알아보자. 작가소개톰 필립스는 영국 런던 출신의 언론인이자 작가이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고고학과 인류학 및 역사와 과학철학을 공부하였으며, 인터넷 뉴스 '버즈피드'의 편집장으로 활동한다. .. 2024. 11. 15. 쇠렌 키르케고르의 죽음에 이르는 병2 - 세가지 절망, 영원성, 파스칼 팡세 제1차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혼란한 유럽사회에서 사람들은 세상의 부조리성과 인간의 비합리성을 겪고 불안과 고통에 대하여 많은 경험을 하게 된다. 이 때 고통과 혼란에 대하여 키르케고르는 기독교에 기반을 둔 실존주의 철학을 주장한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지면관계상 다하지 못하고 남은 부분인 쇠렌 키르케고르의 의 세가지 절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세 가지 형태의 절망· 절망이란?키르케고르는 에서 "자기에 대해 절망한다는 것, 절망해서 자기 자신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것, 이것이 모든 절망을 위한 공식이다. 절망은 절망에 빠진 사람인 자기를 먹어치울 수 없다는 것에서, 그것이 곧 절망에 있어서의 모순의 고통이라고 하는 것에서 인간 안에 영원한 것이 있음을 증명할 수 있다. 그러한 것.. 2024. 5. 1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