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4 제32대 우왕 - 외교정책, 왜구의 침입, 요동정벌과 위화도 회군, 사망과 가족 고려 제32대 국왕 우왕(禑王, 1365 ~ 1389)은 공민왕과 신돈의 여종인 반야의 소생으로 아명은 모니노였다가 후에 강녕부원대군 우(禑)로 개명한다. 1374년 9월에 즉위하여 1388년 6월까지 약 14년간 재위한다. 공민왕이 시해당하자 이인임의 추대로 왕위에 오른다. 1388년 명이 철령위 설치를 통보해 오자, 최영을 시켜 요동 정벌을 단행하였으나, 위화도에서 회군한 이성계 일파에 의해 폐위되었다가 이듬해 처형된다. 우왕 재위기간 중에는 신진사대부(정몽주, 정도전, 조준)가 성장하여 권문세족에 대립하고, 왜구의 피해가 극심하여 최무선이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화약을 사용한 무기 제조 등으로 대비한다. 또한 청주 흥덕사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인 직지심체요절이 간행된다. 출생과 즉위· 출생.. 2025. 4. 11. 제31대 공민왕 3 - 사망과 가족 및 주요 인물(이제현 이자춘 문익점) 고려 제31대 국왕 공민왕(恭愍王, 1330 ~ 1374)은 충숙왕과 공원왕후 홍씨의 차남으로 이름은 강릉대군 왕기(王祺)이다. 1351년 10월에 즉위하여 1374년 9월에 시해되기까지 23년간 재위한다. 공민왕은 노국대장공주가 사망하고 신돈마저 의심하여 처형하자 정치에 염증을 느끼고 술과 남색 등 향락에 빠진다. 심지어 공민왕은 후사가 생기지 않자 자제위 소년들로 하여금 왕비들을 강간하라고 명령하기에 이른다. 결국 측근인 자제위 홍륜에 의해 45세의 나이로 비참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또한 공민왕의 시기에 활약했던 주요 인물로는 이제현, 이자춘, 문익점 등이 있다. 사망과 가족· 사망노국대장공주가 난산으로 사망하자 공민왕은 1372년 젊고 잘 생긴 청년들로 구성된 자제위를 설치하여 시중을 들게 한.. 2025. 4. 10. 제31대 공민왕 2 - 공민왕 시해 사건(김용, 최유의 난) 및 신돈의 급진개혁 고려 제31대 국왕 공민왕(恭愍王, 1330 ~ 1374)은 충숙왕과 공원왕후 홍씨의 차남으로 이름은 강릉대군 왕기(王祺)이다. 1351년 10월에 즉위하여 1374년 9월에 시해되기까지 23년간 재위한다. 공민왕의 재위 기간은 원나라 간섭을 받는 가운데 중국은 원명 교체의 시기이며, 국내적으로는 왜구의 침략과 홍건적 침입으로 토지가 황폐되고 백성들이 죽어나가는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국내외 정세 속에서 공민왕은 노국대장공주와 함께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 왕권을 강화하여 고려의 자주성을 회복하고자 노력한다. 노국대장공주가 난산으로 사망하자 신돈을 등용하여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개혁 정치를 추진한다. 그러나 공민왕은 신돈마저 처형되자 정치에 염증을 느끼고 술과 향락에 빠져 그의 개혁.. 2025. 4. 9. 제31대 공민왕 1 - 출생과 즉위, 반원 자주 개혁 정책, 외적의 침입, 유인우 고려 제31대 국왕 공민왕(恭愍王, 1330 ~ 1374)은 충숙왕과 공원왕후 홍씨의 차남으로 이름은 강릉대군 왕기(王祺)이다. 1351년 10월에 즉위하여 1374년 9월에 시해되기까지 23년간 재위한다. 공민왕의 재위 기간은 원나라 간섭을 받는 가운데 중국은 원명 교체의 시기이며, 국내적으로는 왜구의 침략과 홍건적 침입으로 토지가 황폐되고 백성들이 죽어나가는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국내외 정세 속에서 공민왕은 노국대장공주와 함께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 왕권을 강화하여 고려의 자주성을 회복하고자 노력한다. 노국대장공주가 난산으로 사망하자 신돈을 등용하여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개혁 정치를 추진한다. 그러나 공민왕은 신돈마저 처형되자 정치에 염증을 느끼고 술과 향락에 빠져 그의 개혁.. 2025. 4. 7. 제28대 충혜왕, 제29대 충목왕, 제30대 충정왕 - 생애와 즉위, 사망과 가족 고려 제28대 국왕 충혜왕은 충숙왕의 아들로 이름은 왕정이며, 두 차례(1330~ 1332, 1339~1344)에 걸쳐 왕이 된다. 그는 초기에는 원에 의존하여 왕권을 강화하려고 하였으나, 사치와 향락에 빠져 원나라에 의해 폐위당하고 유배 중에 의문사한다. 충혜왕은 심지어 부왕의 비를 강간하는 패륜을 저지르는 고려 역사상 최악의 폭군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또한 고려 제29대 국왕 충목왕은 충혜왕의 장남으로 이름은 왕흔이며, 재위기간은 1344 ~ 1348년으로 4년이다. 충숙왕이 8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재위기간 내내 어머니 덕녕공주가 섭정을 한다. 권문세족에게 빼앗긴 토지를 되돌려주고, 빈민 구제를 위한 진제도감을 설치하는 등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즉위 4년 만에 12세의 나이로 요절하여 큰 성과는.. 2025. 4. 6. 제27대 충숙왕 - 출생과 즉위, 원의 간섭과 내정의 혼란, 치세, 가족과 사망 고려 제27대 국왕 충숙왕(忠肅王, 1294 ~ 1339)은 충선왕과 의비 예쉬진의 차남으로 이름은 강릉대군 도(燾)이다. 재위기간은 1313년 ~ 1330년, 1332년 ~ 1339년으로 두 차례에 걸쳐 24년 동안 즉위한다. 충숙왕은 권세가들이 불법으로 차지한 토지와 노비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기 위해 찰리변위도감을 설치하고, 사심관제도를 폐지하여 중앙집권을 강화하고, 원으로부터 무리한 세공을 삭감하고, 공녀와 내시의 수를 조정하여 백성들의 부담을 경감하려고 노력한다. 이렇게 충숙왕은 원의 내정간섭과 심양왕 고와의 갈등 속에서도 고려의 자주성을 회복하기 위해 개혁을 시도한 왕으로 평가된다. 출생과 즉위· 출생충숙왕(忠肅王, 1294 ~ 1339)은 충선왕과 의비 예쉬진 사이의 차남으로 이름은 강릉대.. 2025. 4. 4. 이전 1 2 3 4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