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릉4

제31대 공민왕 3 - 사망과 가족 및 주요 인물(이제현 이자춘 문익점) 고려 제31대 국왕 공민왕(恭愍王, 1330 ~ 1374)은 충숙왕과 공원왕후 홍씨의 차남으로 이름은 강릉대군 왕기(王祺)이다. 1351년 10월에 즉위하여 1374년 9월에 시해되기까지 23년간 재위한다. 공민왕은 노국대장공주가 사망하고 신돈마저 의심하여 처형하자 정치에 염증을 느끼고 술과 남색 등 향락에 빠진다. 심지어 공민왕은 후사가 생기지 않자 자제위 소년들로 하여금 왕비들을 강간하라고 명령하기에 이른다. 결국 측근인 자제위 홍륜에 의해 45세의 나이로 비참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또한 공민왕의 시기에 활약했던 주요 인물로는 이제현, 이자춘, 문익점 등이 있다.  사망과 가족· 사망노국대장공주가 난산으로 사망하자 공민왕은 1372년 젊고 잘 생긴 청년들로 구성된 자제위를 설치하여 시중을 들게 한.. 2025. 4. 10.
제1대 태조 왕건 2 - 왕건의 가족과 사망 그리고 통치 이념, 도선국사 고려사는 조선 전기에 기전체로 편찬된 고려 왕조의 역사로 태조 왕건에서 공양왕까지 476년에 걸친 34명의 국왕에 대한 삶과 업적 등을 정사이다. 당시 국제적인 정세로 중앙아시아는 이슬람제국이 융성하였으며, 중국에서는 당나라가 동아시아를 지배하였고, 한반도에서는 신라와 발해가 쇠퇴하면서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여 후삼국을 통일한다. 그 후 중국대륙은 당나라가 망하고 5대 10국을 거쳐 송, 요, 금, 원, 명으로 이어진다. 고려 때는 거란, 몽고, 홍건적 등 외세의 침입을 받게 된다. 여기에서는 태조 왕건의 가족과 사망 그리고 통치이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태조 왕건의 가족과 사망· 가족태조 왕건은 제1비 신혜왕후 유씨와 제2비 장화왕후 오씨는 왕건이 즉위 이전에 결혼을 하였고, 제3비 신명순성왕후.. 2025. 2. 27.
제1대 태조 왕건 1 - 고려 건국과 후삼국 통일,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고려사는 조선 전기에 기전체로 편찬된 고려 왕조의 역사로 태조 왕건에서 공양왕까지 476년에 걸친 34명의 국왕에 대한 삶과 업적 등을 정사이다. 당시 국제적인 정세로 중앙아시아는 이슬람제국이 융성하였으며, 중국에서는 당나라가 동아시아를 지배하였다. 한반도에서는 신라와 발해가 쇠퇴하면서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여 후삼국을 통일한다. 그 후 중국대륙은 당나라가 망하고 5대 10국을 거쳐 송, 요, 금, 원, 명으로 이어진다. 고려 때는 거란, 몽고, 홍건적의 침입을 받게 된다. 여기에서는 태조 왕건의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왕건의 등장· 출생과 집안태조 왕건(太祖 王建 877 ~ 943)은 송악(지금 개성)의 호족인 아버지 용건(왕융으로 개명)과 어머니 위숙왕후 한씨 사이에.. 2025. 2. 26.
제5대 문종실록 - 문종의 29년 세자와 8년의 섭정 및 의정부서사제 첨사원 조선의 제5대 국왕 문종(1414 ~ 1452)의 이름은 향이고 자는 휘지로 세종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문종실록은 총 13권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450년 3월부터 1452년 5월까지 2년 3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실록의 편찬은 김종서, 황보 인, 정인지가 1454년 세종실록이 완성되자 바로 편찬을 시작하여 수양대군이 즉위하자 정인지 혼자 감수하여 1455년 11월에 완성한다.  문종의 29년 세자와 8년의 섭정· 의정부서사제 실시세종의 재위는 31년 6개월의 오랜 기간으로 세자 향(문종)은 세종 3년 1421년에 그의 나이 8세에 왕세자로 책봉되어 29년을 지나게 된다. 이 기간 중 마지막 8년 동안은 세자 향이 세종을 대신하여 섭정을 한.. 2024.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