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165 제20대 신종 - 만적의 난, 최충헌의 봉사 10조, 선정왕후, 보조국사 지눌 Q고려 제20대 국왕 신종(神宗, 1144 ~ 1204)은 인종과 공예왕후 임씨의 다섯째 아들로 이름은 평량공 탁(晫)이다. 재위기간은 1197년 9월부터 1204년 1월까지 6년 4개월이다. 평량공 왕탁은 이의민을 제거하고 권력을 차지한 최충헌에 의해 명종이 폐위되고 왕으로 옹립되어 신종이 된다. 신종이 즉위한 이듬해 1198년 만적의 난을 비롯하여 명주, 동경, 진주, 전주, 합천 등 많은 민란이 계속 일어난다. 신종은 자신의 뒤를 이은 희종, 강종과 함께 실권이 없는 최충헌의 허수아비 군주로 평가받는다. 출생과 즉위· 출생신종(神宗, 1144 ~ 1204)은 인종과 공예왕후 임씨의 5남 4녀 중 막내인 동시에 다섯째 아들로 그의 처음 이름은 민(旼)인데 즉위한 후 금의 태조 완안아골타와 이름이 같아.. 2025. 3. 23. 제19대 명종 - 출생과 즉위 및 무신정권의 변천과정, 가족과 사망 고려 제19대 국왕 명종(明宗, 1131 ~ 1202)은 인종과 공예왕후 임씨의 삼남으로 이름은 익양공 호(晧)이다. 재위기간은 1170년 10월부터 1197년 9월까지 26년 11개월이다. 명종은 1170년 무신정변으로 옹립되어 재위기간 내내 반란과 농민봉기가 일어났으며,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의 순서로 무신들이 차례로 권력을 장악한다. 마지막으로 이의민을 제거하고 권력을 차지한 최충헌에 의해 명종은 폐위되고 평량공 왕탁이 왕이 되어 신종이 된다. 이렇듯 명종은 재위기간 내내 무신들에 의해 극심한 혼란을 겪게 되는 불운한 왕이었다. 출생과 즉위 · 출생 명종(明宗, 1131 ~ 1202)은 인종과 공예왕후 임씨 사이의 5남 4녀 중 삼남으로 의종의 친동생이며 이름은 익양공 호(晧)이다. 그는.. 2025. 3. 20. 제18대 의종 - 의종의 치세 및 사치와 향락, 무신정변과 김보당의 난, 관악 고려 제18대 국왕 의종(毅宗, 1127 ~ 1173)은 인종과 공예왕후 임씨의 장남으로 이름은 현(晛)이다. 재위기간은 1146년 4월부터 1170년 10월까지 24년 6개월이다. 의종은 즉위 초기에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하였으나, 문신 세력과의 갈등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재위 후반에는 무신 세력의 불만이 커지면서 1170년 무신정변이 발생한다. 의종은 폐위되어 거제도로 유배된 후 1173년 '김보당의 난'이 실패하자 이의민에 의해 생을 마감하는 비운의 국왕이다. 출생과 즉위· 출생과 즉위 의종(毅宗, 1127 ~ 1173)은 인종과 공예왕후 임씨 사이의 5남 4녀 중 장남으로 이름은 현(晛)이다. 어머니 공예왕후는 둘째인 대령후 왕경을 좋아하여 태자로 앉히려고 하였으나 정습명의 반대로 첫째인 왕현이.. 2025. 3. 19. 제17대 인종 - 출생과 즉위 및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 삼국사기, 김부식 고려 제17대 국왕 인종(仁宗, 1109 ~ 1146)은 예종과 순덕왕후(문경태후) 이씨의 장남으로 이름은 해(楷)이다. 재위기간은 1122년 5월부터 1146년 4월까지 23년 11개월이다. 인종은 아버지 예종을 뒤를 이어 14세의 어린 나이로 왕이 된다. 그러자 외조부 이자겸이 자신의 두 딸을 인종에게 시집보내 왕의 장인까지 되어 장수 척준경과 손을 잡고 외척정치를 시작한다. 결국 인종은 외척세력인 이자겸의 난, 서경의 귀족 세력인 묘청의 난 등의 반란을 진압하고 왕권 강화 및 문화와 학문 진흥에 노력한 왕이라 할 수 있다. 출생과 즉위· 출생 인종(仁宗, 1109 ~ 1146)은 예종과 순덕왕후(문경태후) 이씨의 장남으로 이름은 해(楷)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학문과 예술에 재능을 보였으며, 특히 .. 2025. 3. 18. 제16대 예종 - 생애와 즉위, 업적과 외교정책, 가족과 사망, 무학재, 동북 9성 고려 제16대 국왕 예종(睿宗, 1079 ~ 1122)은 숙종과 명의왕후 유씨의 장남으로 이름은 우(俁)이다. 재위기간은 1105년 11월부터 1122년 5월까지 16년 6개월이다. 예종은 아버지 숙종을 이어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신권을 억제하고 국정을 주도한다. 윤관을 보내 여진족을 격퇴하고 동북 9성을 쌓았으며, 국학에 칠재를 설치하고 장학재단인 양현고를 설립하여 학문을 장려한다. 대외적으로 송나라와는 친화외교, 금나라와 요나라 사이의 중립외교를 유지하여 국가 안정을 도모하였다. 따라서 예종은 학문, 문화, 국방에 많은 업적을 남긴 자주적인 왕권을 유지한 마지막 군주라 할 수 있다. 출생과 즉위· 출생과 즉위예종(睿宗, 1079 ~ 1122)은 숙종과 명의왕후 유씨 사이의 7남 4녀 중 장남으로 .. 2025. 3. 15. 제15대 숙종 - 출생과 즉위 및 숙종의 업적 및 가족과 사망, 별무반 해동통보 고려 제15대 국왕 숙종(肅宗, 1054 ~ 1105)은 문종과 인예왕후 이씨의 셋째 아들로 이름은 계림공 희(熙)이다. 재위기간은 1095년 11월부터 1105년 11월까지 10년이다. 계림공 왕희는 1095년 이자의의 난을 진압하고 11살 조카 헌종의 왕위를 찬탈하여 왕(숙종)이 된다. 숙종은 개경의 중양귀족들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여 강력한 군주가 된다. 이는 조선에서 어린 조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한 수양대군 세조의 경우와 비슷하다. 출생과 즉위· 출생 숙종(肅宗, 1054 ~ 1105)은 문종과 인예왕후 이씨 사이의 10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이름은 계림공 희(熙)로 나중에 옹(顒)으로 개명한다. 왕희는 어릴 적부터 학문에 뛰어나 오경과 사서 등에 해박하였으며 부지런하고 과감했다. 1077년에.. 2025. 3. 13. 이전 1 2 3 4 5 6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