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제26대 국왕 충선왕(忠宣王, 1275 ~ 1325)은 충렬왕과 제국대장공주(장목왕후)의 장남으로 이름은 장(璋)이다. 충선왕은 1298년 3월 왕위에 올랐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7개월 만에 퇴위하고 충렬왕이 다시 복위한다. 이후 원나라에서 심양왕으로 활동하며 원 황실과의 관계를 강화했고, 부왕 충렬왕이 사망하자 1308년 9월 다시 고려 왕위에 복귀하여 1313년 4월까지 재위한다. 권문세족의 권력 독점을 막기 위해 정방을 폐지하고 사림원을 설치하는 등 개혁을 시도하였으며, 만권당을 설립하여 원과의 학문과 문화 교류를 촉진한다. 후반에는 아들 충숙왕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원나라에서 독서와 학문 연구에 전념한다. 이렇듯 충선왕은 고려의 정치적, 문화적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개혁적이고 학문을 중시한 왕으로 평가받으며, 한편으로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고려의 국왕으로서의 책임을 회피한 왕으로도 평가받기도 한다.
생애와 즉위
· 생애
충선왕(忠宣王, 1275 ~ 1325)은 충렬왕과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 칸의 딸인 제국대장공주(장목왕후)의 장남으로 이름은 즉위 전에 원(謜)이었으며, 즉위 후에 장(璋)으로 개명한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학문과 예술에 뛰어났으며, 고려와 원나라를 오가며 생활하며 왕위 계승자로서 성장한다. 1296년 11월 심양에서 진왕 가말라의 딸 계국대장공주와 결혼한 후 원 황제의 외손자이자 부마로서 막강한 권세를 쥐게 된다.
· 즉위
세자 양원은 1298년 3월에 23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지만, 정치적 혼란과 권력 다툼으로 인해 7개월 만에 물러난다. 이후 1308년에 다시 왕위에 올라 1313년까지 왕이 되어 고려를 다스린다. 그가 바로 고려 제26대 국왕 충선왕이다.
· 충렬왕과 충선왕의 불화
충렬왕은 몽골제국과의 관계를 강화하여 고려를 안정시키려 하자, 그의 아들 충선왕은 아버지 정책에 불만을 품고 권문세족의 부패 척결과 불법 소유한 토지 문제를 해결 등의 개혁정책을 추진하려고 한다. 또한 1297년 5월 세자 왕원은 어머니 제국대장공주가 39세의 나이로 사망하자, 그때부터 세자 왕원은 주색과 사냥에 빠진 충렬왕을 원망하고, 어머니로부터 아버지의 사랑을 빼앗아 간 무비를 미워한다. 결국 세자 왕원은 충렬왕의 후궁 무비(시무비)가 제국대장공주를 저주했다는 혐의로 무비와 그 측근들을 참수한다. 이에 충렬왕은 세자의 횡포와 정치에 염증을 느낀 나머지 1298년 3월 세자 왕원(충선왕)에게 양위한다. 충선왕이 즉위하자마자 왕비 계국대장공주가 시기와 질투로 충선왕이 총애하는 조비가 자기를 저주하였다는 편지를 원나라에 보내는 조비무고사건이 발생한다. 원나라는 조비와 그녀의 가족들을 원나라로 압송하여 고문을 하고, 충선왕의 국왕의 인을 회수하여 아버지 충렬왕에게 되돌려 준다. 충선왕은 즉위 7개월 만인 1298년 10월 다시 왕위를 아버지에게 반환해야만 했다. 이후 충선왕은 원나라로 떠나며 아버지와의 갈등에서 벗어나려 했지만, 1307년 충선왕은 원나라 황제 무종 옹립에 공을 세워 심양왕으로 봉해짐으로써 고려왕과 심양왕은 서로 정통성을 주장하며 다투게 된다. 이렇듯 두 사람 간의 불화는 끝내 해소되지 못하다가 1308년 충렬왕이 사망하게 되자 충선왕은 다시 고려 왕위에 복귀하게 된다. 이후 충선왕은 심양왕과 동시에 고려의 왕이 됨으로써 고려심왕으로 불렸으며, 한반도와 요동을 동시에 통치하고 재위기간 대부분 원나라에서 생활한다. 이렇듯 고려 내에서 지지 세력이 없었던 충선왕은 의비의 소생인 첫째 아들 왕감을 고려 왕으로 옹립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자 1310년 세자 광릉군 왕감을 처형한다. 그 후 차남 강릉대군 왕도(충숙왕)에게 고려 왕위를 물려주고, 충숙왕과도 정적이 되어 인사권과 재정을 쥐고 실질적인 왕 노릇을 한다.
충선왕의 업적
충선왕은 국내 정치 개혁과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대표적으로 권문세족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정방을 폐지하고 사림원을 설치했으며, 소금 전매제도를 도입하여 경제를 안정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원나라에 만권당을 설립하여 학문과 문화 교류를 활성화시켰다.
· 사림원 설치
충선왕은 권문세족의 권력 독점을 막기 위해 정방을 폐지하고, 기존 관료제의 비효율성과 부패를 해결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개혁을 이끄는 특별 행정 기구인 사림원을 설치한다. 사림원은 충선왕의 개혁 정책을 실현하는 핵심 기구로서, 왕명의 출납, 문서 작성, 인사 행정을 관장하며, 정치적 고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원의 간섭으로 인해 짧은 기간만 운영되었다.
· 만권당 설치
충선왕은 원나라 연경(베이징)에 학문 연구소로 만권당을 설치한다. 만권당은 고려와 원나라 간의 활발한 문화 교류의 장소로 조맹부, 요수, 염복 등 남송의 유학자들과 고려의 이제현 등이 모여 학문과 예술을 연구하고 토론하고, 주자성리학과 새로운 서화 기풍을 고려에 소개하여 고려 후기의 학문과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충선왕이 토번으로 유배가 되자 만권당도 폐지된다.
가족과 사망
· 가족
충선왕은 원나라의 진왕 가말라의 딸 제1비 계국대장공주, 제2비 의비 예쉬진, 제3비 정비 왕씨, 제4비 조비, 제5비 순화원비 홍씨, 제6비 순비 허씨라는 6명의 왕비, 궁인 등 여러 명의 부인에게서 3남 1녀의 자식을 가진다. 의비에게서 2남(광릉군 왕감, 강릉대군 왕도 충숙왕), 궁인에게서 1남(덕흥군)과 1녀(수춘옹주)를 낳는다. 충선왕은 화려한 여성편력을 가진 양성애자로 과거 아버지 충렬왕에게 바쳤던 숙창원비와 밀회를 즐겨 신하들의 반대에 부딪히자 그녀를 숙비에 봉하여 공개적으로 탐닉하고, 평양공 왕현의 부인 허씨가 과부가 되자 이미 3남 4녀의 어머니인 그녀를 궁으로 불러들여 순비에 봉하는 등 병적으로 미색을 밝혔으며, 심지어 동성 애인인 원충을 두기도 하였다.
· 사망
고려로 돌아가지 않던 충선왕은 1313년 의비의 소생 왕도(충숙왕)에게 양위하고, 생애 후반부를 원나라에서 보내며 만권당을 신축하고 조맹부 등과 교류하며 학문과 예술에 몰두한다. 1320년 원의 황제 인종이 죽고 영종이 즉위하자 정치적 변동으로 인해 토번으로 유배된다. 그 후 충선왕의 처남 태정제가 반란으로 영종을 제거하자 충선왕은 유배에서 심양으로 돌아온다. 1325년 원나라 연경에서 5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그의 능은 덕릉(德陵)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려 개성부 서쪽에 위치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 정확한 위치는 모른다.
'역사 > 고려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8대 충혜왕, 제29대 충목왕, 제30대 충정왕 - 생애와 즉위, 사망과 가족 (34) | 2025.04.06 |
---|---|
제27대 충숙왕 - 출생과 즉위, 원의 간섭과 내정의 혼란, 치세, 가족과 사망 (12) | 2025.04.04 |
제25대 충렬왕 - 출생과 즉위, 몽골의 일본원정, 치세 및 사망과 가족, 일연 (35) | 2025.03.31 |
제24대 원종 - 출생과 즉위 및 무신정권의 종식, 삼별초의 항쟁, 사망과 가족 (37) | 2025.03.29 |
제23대 고종 2 - 몽고의 침략과 여몽전쟁 및 고종의 사망과 가족, 김윤후 (54)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