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165 몽골 징기스칸의 유럽 침략 - 칼가강 전투, 레그니차 전투와 모히 전투 칭기스 칸(테무진)은 1206년에 몽골 제국을 건설하여 여러 차례의 정복 전쟁을 걸쳐 동쪽의 태평양에서 서쪽의 다뉴브 강과 페르시아 만까지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가진 제국을 건설한다. 여기에서는 칭기스 칸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유럽을 정벌하는 과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칭기즈칸· 생애테무진(칭기스 칸 1162~1227)은 1162년 몽골의 바이칼 호수 근처에서 태어난다. 그의 아버지 예수게이는 보르지긴 부족의 족장이었으나, 테무진이 9살이 되었을 때 적대 부족인 타타르족에 의해 독살당하였다. 이로 인해 테무진과 그의 가족은 고난의 시기를 겪게 된다. 테무진은 어린 시절부터 강한 의지와 리더십을 보였다. 그는 카리스마와 전략적 사고로 점차 많은 지지자들을 모은다. 그리고 자무카와 토그릴과 동.. 2024. 10. 1. 제27대 순종실록 - 마지막 황제 순종 및 순종의 사망과 가족들, 한일합방 조선의 제27대 국왕이자 마지막 군주인 순종(1874 ~ 1926)의 이름은 이척(李坧)이며 고종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명성황후 민씨이다. 는 총 22권 8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907년 7월부터 1910년 8월까지 3년 1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과 1910년부터 1926년까지의 역사를 일본의 총독부가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실록의 편찬은 과 함께 망국 이후인 1927년 4월에 시작하여 8년에 걸쳐 1935년 3월에 완성되었다. 따라서 과 마찬가지로 은 일제 강점기 일본이 설치한 조선 황족에 관련된 사무를 담당하는 기구인 '이왕직'의 주관하에 편찬됨으로써 서술의 객관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조선의 마지막 황제 순종 · 순종의 어린 시절 순종은 고종의 장남으로 명성황후 민씨의 소생이.. 2024. 8. 22. 제26대 고종실록 5 -고종의 가족들(흥선대원군, 명성황후 민씨, 이은, 이강) 조선의 제26대 국왕 고종(1852 ~ 1919)의 이름은 이희(李熙)이며 아명은 명복(命福)이고 초명은 이재황(李載晃)이다. 고종은 남연군의 아들 흥선군 이하응과 여흥부대부인 민씨의 둘째 아들로 1897년 10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초대 황제가 된다. 는 총 52권 52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863년 12월부터 1907년 7월까지 43년 7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일본의 총독부가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여기에서는 지난시간에 이어서 고종의 가족들(흥선대원군, 명성황후 민씨, 이은, 이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고종의 가족들· 고종의 가족들고종은 명성황후 민씨를 비롯하여 7명의 부인에게서 6남 1녀의 자식을 얻는다. 명성황후 민씨에게서 1남(이척(순종)), 귀비 엄씨에게서 1.. 2024. 8. 22. 제26대 고종실록 4 - 고종의 치세와 사건들(1905~1907) 및 고종의 죽음 조선의 제26대 국왕 고종(1852 ~ 1919)의 이름은 이희(李熙)이며 아명은 명복(命福)이고 초명은 이재황(李載晃)이다. 고종은 남연군의 아들 흥선군 이하응과 여흥부대부인 민씨의 둘째 아들로 1897년 10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초대 황제가 된다. 는 총 52권 52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863년 12월부터 1907년 7월까지 43년 7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일본의 총독부가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대한제국 이후의 고종의 치세와 사건들(1905~1907) 및 고종의 죽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고종의 치세와 사건들(1905 ~ 1907)· 을사 늑약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고종에게 군사적 압력을 넣어 1904년 8월 제1차 한.. 2024. 8. 22. 제26대 고종실록 3 - 고종의 치세와 사건들(1897~1904), 대한제국 광무 조선의 제26대 국왕 고종(1852 ~ 1919)의 이름은 이희(李熙)이며 아명은 명복(命福)이고 초명은 이재황(李載晃)이다. 고종은 남연군의 아들 흥선군 이하응과 여흥부대부인 민씨의 둘째 아들로 1897년 10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초대 황제가 된다. 는 총 52권 52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863년 12월부터 1907년 7월까지 43년 7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일본의 총독부가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대한제국 이후의 고종의 치세와 사건들(1897 ~ 1904)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고종의 치세와 사건들(1897~1904)· 대한제국의 성립과 광무개혁1897년 2월 고종은 아관파천 후 1년 만에 경운궁으로 환궁하여 하늘에 고하는 제사를 지낸 후.. 2024. 8. 21. 제26대 고종실록 2 - 고종의 친정과 사건들,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운동 조선의 제26대 국왕 고종(1852 ~ 1919)의 이름은 이희(李熙)이며 아명은 명복(命福)이고 초명은 이재황(李載晃)이다. 고종은 남연군의 아들 흥선군 이하응과 여흥부대부인 민씨의 둘째 아들로 1897년 10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초대 황제가 된다. 는 총 52권 52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863년 12월부터 1907년 7월까지 43년 7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일본의 총독부가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실록의 편찬은 망국 이후인 1927년 4월에 시작하여 1935년 3월에 완성되었다. , 은 일제 강점기 일본이 설치한 조선 황족에 관련된 사무를 담당하는 기구인 '이왕직' 장관 일본인 시노다에 의해 편찬됨으로써 서술의 객관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고종의 친정과 사건들· 고종의.. 2024. 8. 21. 이전 1 ··· 4 5 6 7 8 9 10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