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167 제26대 고종실록 3 - 고종의 치세와 사건들(1897~1904), 대한제국 광무 조선의 제26대 국왕 고종(1852 ~ 1919)의 이름은 이희(李熙)이며 아명은 명복(命福)이고 초명은 이재황(李載晃)이다. 고종은 남연군의 아들 흥선군 이하응과 여흥부대부인 민씨의 둘째 아들로 1897년 10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초대 황제가 된다. 는 총 52권 52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863년 12월부터 1907년 7월까지 43년 7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일본의 총독부가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대한제국 이후의 고종의 치세와 사건들(1897 ~ 1904)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고종의 치세와 사건들(1897~1904)· 대한제국의 성립과 광무개혁1897년 2월 고종은 아관파천 후 1년 만에 경운궁으로 환궁하여 하늘에 고하는 제사를 지낸 후.. 2024. 8. 21. 제26대 고종실록 2 - 고종의 친정과 사건들,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운동 조선의 제26대 국왕 고종(1852 ~ 1919)의 이름은 이희(李熙)이며 아명은 명복(命福)이고 초명은 이재황(李載晃)이다. 고종은 남연군의 아들 흥선군 이하응과 여흥부대부인 민씨의 둘째 아들로 1897년 10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초대 황제가 된다. 는 총 52권 52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863년 12월부터 1907년 7월까지 43년 7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일본의 총독부가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실록의 편찬은 망국 이후인 1927년 4월에 시작하여 1935년 3월에 완성되었다. , 은 일제 강점기 일본이 설치한 조선 황족에 관련된 사무를 담당하는 기구인 '이왕직' 장관 일본인 시노다에 의해 편찬됨으로써 서술의 객관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고종의 친정과 사건들· 고종의.. 2024. 8. 21. 제26대 고종실록 1 - 고종의 등극 및 흥선대원군의 섭정과 사건들, 명복 조선의 제26대 국왕 고종(1852 ~ 1919)의 이름은 이희(李熙)이며 아명은 명복(命福)이고 초명은 이재황(李載晃)이다. 고종은 남연군의 아들 흥선군 이하응과 여흥부대부인 민씨의 둘째 아들이다. 고종은 1897년 10월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초대 황제가 된다. 는 총 52권 52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863년 12월부터 1907년 7월까지 43년 7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일본의 총독부가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실록의 편찬은 망국 이후인 1927년 4월에 시작하여 1935년 3월에 완성되었다. 실록 편찬 작업에는 1927년 '이왕직'을 설치한 후 임시 고용원 10명과 집필생 26명이 , 등을 참고하여 편찬된다. 따라서 , 은 일제 강점기 일본이 설치한 조선 황족에 관련된 사무를.. 2024. 8. 21. 제25대 철종실록 - 철종의 등극과 세도정치의 폐해 및 사망과 가족들, 동학 조선의 제25대 국왕 철종(1831 ~ 1863)의 이름은 이변(李昪)으로 전계대원군 이광과 용성부대부인 염씨 사이에서 태어난 셋째 아들 원범이다. 는 총 16권(부록 1권)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849년 6월부터 1863년 12월까지 14년 6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실록의 편찬은 1864년 4월에 시작하여 1865년 윤 5월에 완성되었다. 실록 편찬 작업에는 총재관 정원용, 김흥근, 김좌근, 조두순, 이경재, 김병학 등이 참가했다. 이 조선왕조의 마지막 실록이라 말할 수 있다. 뒤에 편찬된 , 은 일제 강점기 일본이 설치한 조선 황족에 관련된 사무를 담당하는 기구인 '이왕직'에 의해 편찬됨으로써 서술의 객관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강화도령 원범의 등극.. 2024. 8. 19. 제24대 헌종실록 - 헌종의 등극과 수렴청정 및 헌종의 사망과 가족들 조선의 제24대 국왕 헌종(1827 ~ 1849)의 이름은 이환(李烉)으로 순조의 손자이자 효명세자(익종)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조만영의 딸 신정왕후이다. 는 총 17권(부록 1권)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834년 11월부터 1849년 6월까지 14년 7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실록의 편찬은 1849년 11월에 시작하여 1851년 윤 8월에 완성되었다. 헌종의 등극과 수렴청정 · 헌종의 시대순조시대부터 시작한 세도정치가 점점 심해져 그 여파로 과거제도 및 국가 재정의 기본이 삼정(전정, 군정, 환곡)의 문란해졌으며, 9년에 걸친 수재 등 자연재해의 발생으로 민생이 파탄되었다. 계속된 천주교의 탄압으로 기해박해가 일어나 나중에 프랑스와의 외교분쟁으로 비화된다. 또.. 2024. 8. 19. 제23대 순조실록 - 순조의 등극과 수렴청정 및 사망과 가족들, 홍경래의 난 조선의 제23대 국왕 순조(1790 ~ 1834)의 이름은 이공(李玜)으로 정조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수빈 박씨이다. 는 전 32권 부록 2권 총 36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800년 7월부터 1834년 11월까지 34년 4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순조실록의 첫 부분은 '순종대왕실록'이라고 되었다가 후에 '순조실록'으로 개칭한다. 실록의 편찬은 1835년 5월에 시작하여 1838년 윤 4월에 완성되었다. 편찬에는 총재관 이상황, 심상규, 홍석주, 박종훈, 이지연 등을 비롯하여 많은 인원이 편찬 작업에 투입되었다. 순조의 등극과 수렴청정· 순조시대순조시대는 17, 18세기 상품 화폐경제의 발달로 농민층의 사회의식이 성장하였으나, 세도정치의 폐단으로 정치의 기.. 2024. 8. 18. 이전 1 ··· 5 6 7 8 9 10 11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