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1

전쟁광 위 혜왕과 앉은뱅이 책사 손빈, 삼인성호, 계릉전투, 마릉전투 위혜왕은 그야말로 좌충우돌 전쟁광으로서 의심이 많은 군주이다. 이러한 그의 성격으로 인하여 유능한 인재들은 위나라를 떠난다. 특히 후기 법가사상의 대가인 공손 앙(상앙)같은 인물은 위혜왕이 등용하지 않자 위나라를 떠나 진나라 효공에게 간다. 그는 재상이 되어 변법개혁을 실시하여 진나라를 부강하게 만든다. 위혜왕의 성품은 의심이 많고 일관성이 없으며, 욕심이 많다. 이러한 위혜왕의 성격은 '양혜왕 편'에 잘 나타나 있다. 양혜왕은 "나는 열심히 했으나 전략부재로 나라가 망하게 되었다."라고 말한다. 이와 같이 좋은 전략을 만들 수 있는 인재들을 기용하지 않은 위나라는 발전하지 못하고 서서히 약해져 갈 수밖에 없었다. 위나라는 할아버지 위문후가 추진하였던 정책처럼 일관성 있게 서진정책을 추진하여야 했었다. .. 2023. 11. 19.
위 문후의 유가적 법가주의와 자하, 악양, 서문표, 이극(이회), 오기 위나라는 주나라로부터 정식으로 책봉된 나라이다. 위 문후는 전국시대 초기 위나라 왕으로 개혁정치를 펼쳤으며 서하지방을 개척하는 등 넓은 영토를 확장하였다. 법가의 시조인 이극(이회)을 등용하였으며, 공자의 제자인 자하를 스승으로 삼았다. 즉 그는 유가적 법가주의를 채택 실시하였다. 그리고 오기장군을 등용하여 진나라의 동진을 막아내고 서하지방을 차지한다. 남으로 초나라의 중원장악을 저지하여 전국시대 최초의 강대국인 패자로 등장한다. 위나라는 그 후 위 무후를 거쳐 위 혜왕(양혜왕)으로 이어진다. 여기에서는 위 문후의 유가적 법가주의와 자하, 악양, 서문표, 이극(이회), 오기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위문후의 생애 위 문후(BC445 ~ BC 396)는 중국전국시대 위나라의 시조로 성은 '위', 이름은.. 2023. 11. 19.
처세술 범려와 춘추오패 월왕 구천, 고소산, 회계산, 상분득신, 토사구팽 범려는 초나라 완지 사람으로 정치, 군사 등에 뛰어나 월왕 구천의 책사가 되었습니다. 그는 오나라와의 전쟁을 통해 월왕 구천이 다섯 번째 춘추오패가 될 수 있도록 많은 공을 세운다. 또 그는 기발한 계책과 탁월한 추진력으로 월왕 구천을 위기에서 구해낸다, 심지어 월왕 구천이 오나라의 포로가 되었을 때에는 같이 포로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 탈출 방법도 기이하다. 특히 범려는 물러나야 할 때를 정확히 알고 물러난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처세술의 대가 범려와 춘추오패 월왕 구천에 대하여 알아보자. 범려의 출생 범려(범여 BC 517 ~ ?)는 춘추시대 초나라 완지 사람으로 이름은 '여'이고, 자는 '소백'이다. 그는 정치가인 동시에 군인이다. 문종과 함께 월나라 왕 구천의 책사이다. 당시 오자서와 손무의 활.. 2023. 11. 18.
오자서 복수, 오부차·월구천 와신상담, 굴묘편시, 일모도원, 서시효빈 지난번에는 복수의 화신 오자서와 손자병법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나 지면에 부족하였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계속 이어서 오자서의 복수와 오부차·월구천의 와신상담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오자서는 손무와 함께 합려를 도와 나라를 튼튼하게 만든다. 그 결과 합려가 춘추오패로 등극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우선 오·초전쟁과 오자서의 죽음 이야기를 고사성어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오·초 전쟁 오나라는 오자서와 손무가 합려를 도와 다가올 초나라와의 전쟁을 대비한다.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여 민심을 얻고 경제를 부유하게 만들며 군대를 확충하고 훈련에 만전을 기한다. 그리고 외교에는 당과 채나라와 동맹을 유지한다. 또한 월나라(당시 월왕은 윤상)를 공격하여 배후를 튼튼하게 만들었다. 그러던 중 국경에서 사소한 분쟁이 벌.. 2023. 11. 17.
복수의 화신 오자서와 손무의 손자병법, 비무기, 합려, 전제, 백비 오자서는 고향 초나라에서 초평왕에게 부모형제가 다 죽임을 당하고 혈혈단신 도망간다. 오자서는 복수를 결심하고 여러 나라를 방랑한 끝에 드디어 오나라에 정착하여 공자 광(합려)을 왕이 되게 만든다. 그리고 손자병법을 쓴 손무와 같이 오나라를 부강하게 만들게 된다. 여기에서는 복수의 화신 오자서와 손무의 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초나라의 오자서 오자서(BC ? 559 ~ 485) 초나라 사람으로 춘추시대 말 오나라를 강대국으로 만든 전략가이자 대부이다. 오자서의 아버지는 태자 건의 스승인 태사 오사이며 형은 오상이다. · 태자 건의 결혼문제 초평왕 때 간신 비무기가 태자 건과 진나라 공주 맹영과의 혼사가 있어 갔다가 맹영이 너무 아름다운 것을 알고 농간을 부 린다. 그녀를 초평왕이 취하게 하고 태자 건에.. 2023. 11. 16.
춘추오패 '초장왕'과 불비불명, 절영지연, 문정경중, 음덕양보, 투월초 여기에서는 도의와 명분 그리고 힘까지 갖춘 정복군주 초성왕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그가 왕이 되어 권력을 잡고 나라를 안정시켜 나아가 춘추오패가 되는 과정에는 많은 이야기와 고사성어가 있다. 오늘 여기에서는 초장왕의 배경과 권력을 잡는 과정, 힘을 가진 정복군주로 중원의 패자가 되는 과정에 얽힌 이야기나 고사성어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배경 초나라는 계련이 시조인 남방 오랑캐의 나라이다. 초장왕의 할아버지는 성복전투에서 패전하여 아들 상신(초목왕)이 포로로 잡히자 곰발바닥 요리를 하여 바쳤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목을 메어 자살한 초성왕이며, 아버지는 초목왕이다. 초장왕(BC ? ~ BC 591)은 어려서 왕이 되었다. 그러나 왕자 섭이 반란을 일으켜 인질이 되어 잡혀있다가 풀려난 .. 2023. 11. 16.
진나라 재상 '오고대부 백리해' 생애와 업적, 순망치한, 진혜왕, 진문공 진나라의 재상 오고대부 백리해는 30세에 공부를 시작하여 40년간 여러 나라를 전전하며 고생한다. 70세에 진목공을 만나 등용되어 진나라의 명재상으로 활약하게 된다. 그는 건숙, 유어 등 능력 있는 인재를 진목공에게 추천하여 나라의 기초를 탄탄히 다지게 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재상 백리해의 도움으로 진목공은 서융지역의 패자가 된다. 그리고 유랑생활, 노비로서의 생활, 초나라에서 소 키우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이야기, 진목공을 만나 재상이 되는 이야기 등을 오고대부 백리해와 진(秦) 목공과의 관계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정말 인생역전, 인간승리의 산증인이 되는 백리해의 이야기는 요즈음 현대인에게는 많은 울림을 준다. 출생과 유랑생활 백리해는 우나라 사람이다. 그는 소 키우는 목축을 잘하고 좋아했다. 그.. 2023. 11. 15.
춘추오패 서융의 패자 '진(秦) 목공'과 백리해, 건숙, 유여 진목공은 고대 진나라 군주로서 후의 진시황의 조상이다. 그는 당시 강대국이었던 진나라 헌공의 딸 목희(백희)와 화친정책으로 힘을 키워 종주국 주나라의 낙양천도를 도운 공으로 주나라 땅을 하사 받아 강대국이 된다. 그 후 동으로는 강력한 진(晉) 나라를 굴복시키고, 서로는 융 지역을 차지하여 춘추오패로 등극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인재를 구하는 데에 최선을 다하는 어진 군주 진목공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생애 진목공(秦穆公 BC ? ~ 621)은 성공의 동생인데 형제상속으로 왕이 된다. 그는 초기에는 힘이 약해 당시 강력한 진(晉) 나라 헌공과의 화친정책으로 진헌공의 딸 목희(백희)와 결혼하게 된다. 화친정책으로 힘을 키워 주나라의 낙양천도를 도운 공으로 주나라 땅을 하사 받아 서융의 패자가 되어 강대국.. 2023. 11. 15.
세번째 춘추오패 송양지인 '송양공'과 홍수전투, 계절존망, 존왕양이 춘추시대에는 '존왕양이(尊王攘夷 : 주왕을 숭상하고 외부의 오랑캐를 배척하는 것)', '계절존망(繼絶存亡 : 망해가는 주나라의 종묘와 국통을 다시 이어 줌) 이 두 가지가 가장 중요한 대의명분이다. 이것을 가장 잘 지킨 패자정치의 대표적인 인물로 송양공을 꼽고 있다. 그는 지나치게 명분을 추구하다가 현실성이 없는 이상에 빠진다. 심지어 전쟁 중에도 명분에 치우쳐 부상을 당해 자신의 목숨까지도 잃게 된다(홍수 전투). 후세 사람들은 이러한 송양공을 가리켜 '송양지인(宋襄之仁 : 지나치게 인정이 많아 오히려 자신이 손해를 보는 것, 현실성 없는 이상에 빠진 사람을 가리키는 사자성어)'이라고 한다. 여기에서는 세 번째 춘추오패 송양공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송양공의 생애 송양공이 왕위에 오른 후 얼마되지 .. 2023. 11. 14.
춘추오패 방랑자 진(晉) 문공, 여희, 1룡 5사, 개자추와 한식, 성복전투 중국 춘추시대 진(晋) 나라 문공은 아버지 헌공으로부터 추방당하여 어머니의 나라(적족땅)로 도망간다. 5명의 가신과 같이 19년 동안 여러 나라로 도망 다니며 유랑생활을 하게 된다. 생사고비를 다 넘긴 후 의형제 진목공의 도움으로 62세에 고국 진나라로 돌아와 왕이 된다. 진문공은 사람을 사귀는 데 있어서 믿음(信)을 중요시하기에 그를 위해 목숨까지도 바치는 많은 신하들이 있었다. 그러한 신하들의 도움으로 그는 춘추오패(제환공, 진목공, 송양공, 진문공, 초장왕)가 된다. 여기에서는 춘추오패에 등극한 방랑자 진문공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출생과 왕위계승 싸움 진문공은 복잡한 가계로 왕위계승 다툼에 휘말리게 된다. 그의 가계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진 문공(晋文公 중이, ? ∼ BC 628)은 진나라.. 2023. 11. 14.
위대한 사상가 공자와 육경, 유가사상 논어, 군자삼락, 극기복례 공자(孔子BC 551~BC479, 공부자)는 유교의 시조이자 문학가, 정치가, 사상가로 활동하였다. 그가 살았던 시기는 춘추시대이다. 이 시기는 약육강식 전쟁의 혼란한 시기이며, 주나라 중심의 봉건제도에서 중앙집권제도로 넘어가는 과도기이다. 그는 무너져 가는 주나라의 예법(주례)을 회복하여 세상을 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는 당시의 군주들에게는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우리는 여기에서는 공자의 생애, 공자의 사상, 그리고 에 나오는 공자의 가르침 그리고 후세사람들의 평가를 통하여 '위대한 사상가 공자와 유가사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공자의 생애 그는 노나라에서 서자로 태어났다. 이름은 구, 자는 중니이다. 3살 때 아버지가 죽은 후 어머니 마저 눈이 멀어버려 어려운 가정형편에서 어린 시절을 지낸.. 2023. 11. 13.
노자의 도덕경과 무위자연사상, 공수신퇴 천지도, 도가도비상도 우리는 여기에서 노자의 과 무위자연사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노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사마천의 에 나오는 인물을 살펴보면 세 명으로 보인다. 1. 초나라 사람 이이(李耳, 자는 담(聃=老聃)으로 을 지은 사람, 2. 공자와 같은 시대 사람인 책 15권을 쓴 노래자(老萊子), 3. 진(秦) 나라의 헌공과 회담한 사람인 주나라 태사담으로 이렇게 세 명으로 나오고 있다. 따라서 노자는 한 사람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숨어 살아가는 은둔자를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후세의 시인이나 화가들은 '노자출관도'(노자가 주나라의 벼슬을 내려놓고 소를 타고 국경 지역 함곡관을 지나 산속으로 은둔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를 많이 그렸다. '노자가 세상을 떠나 어디로 가는 것인지?', '물러날.. 2023.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