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대 문종 2 - 대외 정책과 주요 인물 및 가족과 사망, 최충 이자연, 벽란도
고려 제11대 국왕 문종(文宗, 1020 ~ 1083)은 현종과 원혜왕후 김씨 아들로 이름은 낙랑군 휘(徽)이다. 재위기간은 1046년 6월부터 1083년 9월까지 37년 3개월이다. 문종은 아버지 현종과 형들인 덕종과 정종을 이어서 사회, 경제, 외교,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고려의 최고 황금기를 이끈 성군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문종의 대외정책, 주요 인물, 문종의 가족과 사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외 정책· 요나라(거란)와의 관계1054년, 고려 문종은 맏아들 왕휴를 태자로 삼은 뒤 김양지를 책봉 사절로 요나라에 보내는 등 형식적인 사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거란은 고려의 국력이 강성하게 되자 더 이상 침략 의도를 보이지 않았다. 그해 7월 요의 병사들이 압록..
2025. 3. 10.
제11대 문종 1 - 출생과 등극, 법률제도의 확립 및 경정 전시과, 문화 정책
고려 제11대 국왕 문종(文宗, 1020 ~ 1083)은 현종과 원혜왕후 김씨 아들로 이름은 낙랑군 휘(徽)이다. 재위기간은 1046년 6월부터 1083년 9월까지 37년 3개월이다. 문종은 27살의 나이로 즉위하여 해동공자 최충으로 하여금 유학을 장려하고, 대각국사 의천의 천태종 도입 등 문화정책을 펼쳐 태평성대를 가져오게 한다. 따라서 문종은 아버지 현종과 형들인 덕종과 정종을 이어서 사회, 경제, 외교,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고려의 최고 황금기를 이끈 성군이라 할 수 있다. 지면관계상 여기에서는 문종의 출생과 등극, 법률제도의 확립 및 경정 전시과, 문화정책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출생과 등극· 출생과 어린 시절 문종(文宗, 1020 ~ 1083)은 현종과 원혜왕후 김씨 사이의 2남 1녀 중 ..
2025.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