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신화는 고대 중국인들의 세계관, 자연관, 그리고 인간과 신의 관계를 반영하는 방대한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신화들은 창조 신화, 영웅 신화,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다룬 삼황오제 신화로 나누어지며, 중국 문화와 철학에 깊은 영향을 끼친다. 중국 신화는 단순한 이야기를 넘어, 자연과 인간, 신의 관계를 탐구하며 중국인의 정체성과 문화적 뿌리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창조 신화
· 반고 신화(Pangu)
반고는 천지 창조의 신으로, 혼돈 속에서 깨어나 하늘과 땅을 분리하고 세상을 창조한다. 그의 몸은 산, 강, 태양, 달 등 자연의 요소로 변한다. 즉, 태초에 우주는 거대한 알과 같은 혼돈 상태에 있었다. 이 알 속에서 반고가 18,000년 동안 잠을 자다가 깨어난다. 반고는 도끼를 사용해 알을 쪼개어 가벼운 부분은 하늘로, 무거운 부분은 땅으로 나눈다. 그는 하늘과 땅이 다시 합쳐지지 않도록 자신의 몸으로 이를 지탱하자, 매일 하늘은 높아지고 땅은 두터워진다. 반고가 죽은 후, 그의 몸은 자연의 요소로 변하여, 눈은 태양과 달이 되고, 피는 강이 되며, 뼈는 산이 된다.
· 여와 신화(Nüwa)
여와는 인간을 창조한 여신으로, 흙으로 사람을 빚어낸다. 또한, 하늘이 무너졌을 때 오색 돌로 하늘을 보수한다. 즉, 반고가 천지를 창조한 후에도 세상에는 사람이 없었다. 이에 여와는 흙으로 자신의 모습을 본떠 작은 인간을 만들자, 이들은 살아 움직이기 시작한다. 그러자 더 많은 사람을 만들기 위해 흙을 밧줄로 흔들어 떨어지는 흙덩어리들이 사람으로 변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손으로 만들어진 사람은 상류 계층, 밧줄을 흔들어 떨어진 흙덩어리로 만들어진 사람들은 하류 계층이 된다. 또한, 여와는 하늘이 무너졌을 때 오색 돌로 하늘을 보수하고, 거대한 거북의 다리를 사용해 하늘을 지탱한다.
영웅 신화
· 후예(Houyi)
옛날, 하늘에는 열 개의 태양이 있었다. 이 태양들은 하루에 하나씩 떠올라 세상을 비추어야 하는데, 어느 날 모두 동시에 하늘에 떠오른다. 그 결과, 세상은 뜨거운 열기로 인해 초목이 타고, 강과 바다가 말라버리며 생명체들이 고통받게 된다. 이 재앙을 해결하기 위해, 요(堯) 임금은 활의 명수 후예를 불러 도움을 요청한다. 후예는 하늘로 올라가 화살로 아홉 개의 태양을 쏘아 떨어뜨리고, 하나의 태양만 남겨 세상을 구한다. 이로써 세상은 다시 균형을 되찾고, 후예는 인간들에게 영웅으로 칭송받는다.
· 곤과 우(Gun and Yu)
홍수를 막기 위해 곤(Gun)은 신성한 흙인 '식토(息土)'를 훔쳐 제방을 쌓아 통제하려고 하였으나 실패로 끝난다. 결국 그는 신들의 분노를 사게 되어 죽임을 당한다. 그러자 곤의 아들 우(Yu)는 아버지의 실패를 교훈 삼아 제방을 쌓는 대신, 물길을 만들어 홍수를 자연스럽게 흘려보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 결과 우의 노력은 성공을 거두고 백성들의 존경을 받는 지도자가 된다. 이후 우는 하(夏) 왕조를 세운 전설적인 인물이 된다. 중국 신화에서 곤과 그의 아들 우는 대홍수를 다스린 영웅들로 등장하며 자연재해를 극복하려는 인간의 의지를 상징한다.
삼황오제 신화
삼황오제(三皇五帝)는 중국 신화에서 고대 중국 문명의 시조로 여겨지는 전설적인 제왕들로 복희, 여와, 신농의 삼황과 황제, 전욱, 제곡, 요, 순의 오제를 말한다. 삼황오제는 단순한 신화적 존재를 넘어, 중국 문명의 창시자이자 이상적인 통치자로 중국 문명의 기원과 이상적인 통치 철학을 상징한다. 이들의 이야기는 중국의 전통적 가치관과 자연, 인간, 신의 조화를 반영하며, 오늘날에도 중국 문화와 철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삼황(三皇)
삼황은 인간 문명의 기초를 닦은 신성한 존재들로 여겨진다. 1. 복희(伏羲) : 인간에게 사냥과 낚시, 불 사용법을 가르친 문명의 창시자로, 뱀의 몸과 인간의 머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 팔괘(八卦)를 창안하여 우주의 원리를 설명한다. 2. 여와(女媧) : 인간을 창조한 여신으로, 흙으로 사람을 빚어 생명을 불어넣었으며, 하늘이 무너졌을 때 오색 돌로 하늘을 보수한다. 3. 신농(神農) : 농업과 약초학의 창시자로, 인간에게 농경과 약초 사용법을 가르친다. 그는 염제(炎帝)라고도 불리며, 농업의 신으로 숭배받는다.
· 오제(五帝)
오제는 이상적인 통치자로 여겨지며, 중국 문명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로 묘사된다. 1. 황제(黃帝) : 중국 문명의 시조로, 집 짓는 법, 옷 짜는 법, 수레와 글자의 발명을 통해 문명을 발전시킨다. 2. 전욱(顓頊) : 황제의 후손으로, 천문학과 역법을 발전시켰으며, 질서를 중시한 통치자로 알려져 있다. 3. 제곡(帝嚳) : 음악과 예술을 발전시킨 군주로, 백성들에게 문화적 풍요를 제공한다. 4. 요(堯) : 덕망 높은 통치자로, 백성들에게 정의롭고 공정한 통치를 펼친다. 5. 순(舜) : 요의 뒤를 이어 이상적인 통치를 이어갔으며, 효와 도덕성을 중시한 군주로 알려져 있다.
'신화 > 각종 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신화 - 다카마가하라,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 (22) | 2025.04.18 |
---|---|
한국 신화- 건국(단군 주몽 박혁거세 김수로) 시조(석탈해 김알지) 무속 신화 (28) | 2025.04.18 |
인도 신화 2 - 우주의 창조,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비슈누의 아바타, 윤회 (26) | 2025.04.17 |
인도 신화 1 - 베다시대와 힌두시대 및 세계관과 주요 신들, 다르마 카르마 (14) | 2025.04.17 |
이집트 신화 - 세계관과 주요 신 및 주요 사건, 라 오시리스 호루스 아비누스 (28)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