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포타미아 신화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현재 이라크 주변)에서 전해 내려오는 신화로,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신화 중 하나이다. 이 신화는 수메르, 아카드, 바빌론, 아시리아 등 다양한 문명에서 발전했으며, 각 문명마다 독특한 신들과 이야기가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신들의 탄생, 천지와 인간의 창조, 바빌론의 주신 마르두크가 나오는 바빌론의 창세 신화 에누마 엘리시가 있으며, 우루크의 왕 길가메시와 그의 친구 엔키두의 모험, 그리고 불멸을 찾는 여정을 다루는 인류 최초의 서사시 길가메시 서사시가 있다. 또한 아트라하시스 신화와 에리두 창세 신화에서는 후대의 노아의 방주 이야기와도 유사한 대홍수 신화가 등장한다. 따라서 메소포다미아 신화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의 세계관, 종교적 믿음, 그리고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반영하며, 현대에도 많은 연구와 관심을 받고 있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길가메시 서사시, 대홍수 신화(아트라하시스, 에리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길가메시 서사시
길가메시 서사시는 인류 최초의 문학 작품으로 점토판에 쐐기 문자로 기록된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서사시이다. 수메르 도시국가 우루크의 왕, 길가메시의 모험과 인간의 삶, 죽음, 불멸을 다루며, 고대 문명의 철학적, 종교적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주요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 길가메시와 엔키두의 우정
우르크의 왕 길가메시는 강력한 힘을 가졌지만, 오만한 통치로 인해 백성들은 고통을 받게 된다. 이에 신들은 길가메시를 견제하고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야생의 인간 엔키두를 창조한다. 엔키두는 야생에서 자란 존재로, 길가메시의 폭정을 막기 위해 격렬히 싸운다. 그 후 둘은 서로를 인정하고 친구가 되어 함께 모험을 떠난다.
· 훔바바와 하늘의 황소
두 사람은 삼나무 숲의 괴물 훔바바를 물리친다. 이후 사랑과 전쟁의 여신 이슈타르는 길가메시의 힘과 용맹함에 매료되어 길가메시에게 청혼하지만, 길가메시는 그녀의 파괴의 본성을 파악하고 이를 거절한다. 이에 분노한 이슈타르는 하늘의 황소를 풀어 길가메시를 공격하나, 엔키두가 황소를 처치한다.
· 엔키두의 죽음과 길가메시의 여정
엔키두가 신들의 저주로 죽음을 맞이하자, 길가메시는 큰 충격을 받는다. 길가메시는 불사의 비밀을 찾기 위해 딜문(신들이 사는 낙원)으로 대홍수 생존자 우트나피쉬팀(신에게 영생을 부여받아 불사의 인간이 됨)을 찾아간다.
· 불멸의 비밀과 깨달음
우트나피쉬팀은 길가메시에게 대홍수와 불멸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길가메시는 바다 깊은 곳에 잠수하여 젊음을 되찾아주는 불멸의 꽃을 구한다. 우르크로 돌아가는 길에 그가 잠시 잠이 든 사이, 뱀이 나타나 꽃을 먹어버린다. 뱀은 꽃의 힘으로 허물을 벗으며 새롭게 태어난다. 이 사건으로 결국 길가메시는 불멸의 포기하고 인간의 유한성을 받아들인다. 우루크로 돌아와 현명한 왕이 된다.
대홍수 신화
메소포타미아 창세 신화 중에 아트라하시스 신화와 에리두 창세 신화에 나오는 '대홍수 신화'는 인간과 신들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 두 신화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세계관과 자연재해에 대한 기억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후 노아의 방주 이야기와 같은 다른 기독교 문화의 홍수 신화에 영향을 미쳤다.
· 아트라하시스 신화
인간 창조와 대홍수를 다루는 메소포타미아의 창세 신화 아트라하시스 신화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들이 인간을 창조하자, 인간은 신들을 섬기고 노동을 대신한다. 그러던 중 인간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소음이 커진다. 폭풍의 신 엔릴은 인간을 멸망시키기로 결심하고 대홍수를 일으킨다. 한편 수메르 도시 슈루팍(Shuruppak)의 왕 아트라하시스는 지혜롭고 경건하여 신들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었다. 물과 지혜의 신 엔키는 인간을 아끼는 마음으로 아트라하시스에게 배를 만들라고 알려준다. 아트라하시스는 배를 만들어 대홍수로부터 가족과 동물들을 구하고, 이후 신들에게 제사를 드려 화해하고 새로운 관계를 만든다.
· 에리두 창세 신화
에리두 창세 신화는 아트라하시스 신화와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기록이 훼손되어 명확하지 않으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간의 소란스러움에 신들이 분노하여 대홍수를 일으킨다. 아트라하시스와 유사한 인물인 지우수드라가 등장하며, 그는 배를 만들어 홍수를 피한다. 생존자는 신들에게 제사를 드려 화해하고, 신들은 인간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메소포타미아 신화 1 - 세계관과 에누마 엘리시 신화 및 주요 신들, 티아마트
메소포타미아 신화 1 - 세계관과 에누마 엘리시 신화 및 주요 신들, 티아마트
메소포타미아 신화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현재 이라크 주변)에서 전해 내려오는 신화로,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신화 중 하나이다. 이 신화는 수메르, 아카드, 바빌론, 아시리아 등 다양한
bong3614.tistory.com
'신화 > 각종 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아메리카 신화 2 - 이로쿼이와 휴톤 족의 신화 및 미국 신화(빅풋, 폴 번얀) (17) | 2025.04.22 |
---|---|
북아메리카 신화 1 - 신화의 분류와 북미신화(아르공퀸족, 나바호족, 천둥새) (16) | 2025.04.22 |
메소포타미아 신화 1 - 세계관과 에누마 엘리시 신화 및 주요 신들, 티아마트 (18) | 2025.04.21 |
캄보디아 신화 - 카운디냐와 소마 신화 및 프레아 통 왕자 신화, 나가리자 왕 (15) | 2025.04.20 |
베트남 신화 - 락롱꾸언과 아우꺼 신화 및 물고기 정령 신화, 반랑국, 용군 (15)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