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조선왕조실록51

제13대 명종실록 1 - 명종의 등극과 문정왕후 및 사망과 가족들, 이언적 이황 조선의 제13대 국왕 명종(1534 ~ 1567)의 이름은 이환(李峘)이며, 자는 대양(對陽)이다. 중종의 아홉째 막내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문정왕후 윤씨이다. 명종실록은 총 34권 34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545년 7월부터 1567년 6월까지 22년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실록의 편찬은 1568년 8월 춘추관에 실록청을 두고 편찬을 시작하여 약 3년 만인 1571년 4월에 완성한다. 편찬에는 춘추관감사 홍섬, 지춘추관사 오겸, 이황 등을 비롯하여 총 77명이 참여한다.  명종의 등극과 문정왕후· 명종의 등극문정왕후는 35세의 늦은 나이에 어렵게 아들 경원대군을 낳는다. 그때 중종 큰아들인 장경왕후의 소생 인종은 20세였다. 따라서 경원대군이 왕이 될 확률.. 2024. 8. 4.
제12대 인종실록 - 인종의 짧은 통치와 가족들, 계모 문정왕후 윤씨 조선의 제12대 국왕 인종(1515 ~ 1545)의 이름은 이호(李峼)로 중종의 첫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장경왕후 윤씨이다. 인종실록은 총 2권 1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544년 11월부터 1545년 7월까지 약 9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실록의 편찬은 명종즉위 후 1546년 중종실록에 부수하여 4년 후 1550년 10월에 완성한다. 즉위한 11월, 12월의 역사는 중종실록에 실려있어 인종실록에는 고작 7개월간의 역사만 실려있다. 인종의 짧은 통치· 인종의 어린 시절인종은 1515년 중종과 장경왕후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이호(李)이다. 성품이 온순하고 효심이 깊으며 형제간의 우애가 돈독했다. 3세에 글을 읽을 정도로 총명하고, 동궁에 머물 때 옷을 화려하.. 2024. 8. 3.
제11대 중종실록 2 - 정국의 혼란과 중종의 가족들 및 서경덕과 황진이 조선의 제11대 국왕 중종(1488 ~ 1544)의 이름은 이역(李懌)으로 성종의 둘째 아들 진성대군이며 어머니는 정현왕후 윤씨이다. 중종실록은 총 105권 102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506년 9월부터 1544년 11월까지 38년 2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원명은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실록'이다. 실록의 편찬은 명종즉위 후 1546년 춘추관에 실록청을 두고 편찬을 시작하여 1550년 10월에 완성한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정국의 혼란과 중종의 가족들 및 중종시대 유명한 사람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중반기 이후 정국의 혼란· 훈구파의 전횡 4년 동안  조광조를 통한 중종의 개혁정치가 기묘사화로 실패로 돌아가자, 심정 등 훈구파의 전횡이 .. 2024. 8. 2.
제11대 중종실록 1 - 중종반정과 등극 및 중종의 개혁정치와 기묘사화 조선의 제11대 국왕 중종(1488 ~ 1544)의 이름은 이역(李懌)으로 성종의 둘째 아들 진성대군이며 어머니는 정현왕후 윤씨이다. 중종실록은 총 105권 102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506년 9월부터 1544년 11월까지 38년 2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원명은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실록'이다. 실록의 편찬은 명종즉위 후 1546년 춘추관에 실록청을 두고 편찬을 시작하여 1550년 10월에 완성한다. 편찬작업에는 총재관으로 정순붕, 심연원, 이기를 임명하는 등 총 134명이 실무를 수행한다. 그러나 은 당시 훈구세력들에 의해 사실이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공정성이 의심받는다.  중종반정과 등극· 연산군의 폭정과 중종반정연산군은 모든 권력을 쥐게 되자.. 2024. 8. 2.
제10대 연산군일기 - 연산군의 등극과 폭정 및 무오사화와 갑자사화 조선의 제10대 국왕 연산군(1476 ~ 1506)은 성종의 첫째 아들로 이름은 융(㦕)이며 어머니는 폐비 윤씨이다. 연산군일기는 총 63권 43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1년 10개월(1494. 12 ~ 1506. 9)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이다. 일기의 편찬은 감춘추감사로 김감을 임명하여 1506년 11월 시작하여 3개월 만에 대신암살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되자 대제학 신용개가 감춘수감사가 되어 재개하여 1509년 9월에 완성되어 보관된다. 연산군 때 시정기가 자주 검열을 받아 누고도 쉽게 직필 하지 못하였으며, 다른 실록과는 달리 편찬자의 명단은 남아있지 않다.  연산군의 등극과 폭정 · 폐비 윤씨 사건성종시기는 조선시대 전체에서 가장 평화로웠던 시기였다. 그러나 성종 .. 2024. 8. 1.
제9대 성종실록 3 - 사림파의 등장과 세력 균형 및 각종 서적 편찬 조선의 제9대 국왕 성종(1457 ~ 1494)의 이름은 혈(娎)로 의경세자(덕종)의 둘째 아들 자을산군이며 어머니는 소혜왕후 한씨이다. 성종실록은 총 297권 150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25년 1개월(1469. 11 ~ 1494. 12)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로 원명은 '성종강정대왕실록'이다. 실록의 편찬은 1495년 4월 시작되어 1499년 3월에 완성되어 네 곳의 사고에 보관된다. 실록에는 김일손의 '사초'와 단종을 추모하고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난한 김종직의 '조의제문', 이극돈이 정희왕후 상중 기생과 놀아난 것을 비난한 김종직의 '화술주시'가 실려있어 연산군 때 무오사화의 원인이 된다. 여기에서는 사림파의 등장과 세력균형 및 각종 서적 편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2024.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