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조선왕조실록

제11대 중종실록 2 - 정국의 혼란과 중종의 가족들 및 서경덕과 황진이

by 이야기마을촌장 2024. 8. 2.

조선의 제11대 국왕 중종(1488 ~ 1544)의 이름은 이역(李懌) 성종의 둘째 아들 진성대군이며 어머니는 정현왕후 윤씨이다. 중종실록은 총 105권 102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506년 9월부터 1544년 11월까지 38년 2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원명은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실록'이다. 실록의 편찬은 명종즉위 후 1546년 춘추관에 실록청을 두고 편찬을 시작하여 1550년 10월에 완성한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정국의 혼란과 중종의 가족들 및 중종시대 유명한 사람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중종정릉

 

중반기 이후 정국의 혼란

· 훈구파의 전횡

 4년 동안  조광조를 통한 중종의 개혁정치가 기묘사화로 실패로 돌아가자, 심정 등 훈구파의 전횡이 자행되어 중종 중반기 이후에는 각종 옥사가 끝이지 않고 일어나 정국이 혼란에 빠지게 된다. 1521년 심정, 남곤의 일파인 송사련의 신사무옥이 일어나 송처겸 등 사림파가 다시 숙청되었다. 1524년에는 쫓겨났다가 기묘사화 이후 정계에 복귀한 김안로가 파직되고, 이듬해 3월에는 윤세창의 모역사건이 일어나고, 1527년 김안로의 아들 김희가 심정, 유자광을 제거하고자 일으킨 동궁 작서의 변이 일어나 죄 없는 경빈 박씨와 복성군이 쫓겨난다.

 

· 국방의 혼란

이러한 정국의 혼란으로 남쪽에서는 왜구들이 침입하여 삼포왜란을 일으켜 경상도 일대가 많은 피해를 당하게 된다. 조정에서 이를 진압하고 왜와의 통상을 중단시킨다. 1512년 왜의 요구로 세견선과 세사미를 반감하고 제포만을 개항하는 임신조약을 체결하고 왜의 출입을 엄격히 제한한다. 또한 북방 4군 6진에서도 야인들의 침입이 빈번해 지자 조정은 왜구와 야인들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비변사를 설치한다. 후에 비변사는 그 기능이 강화되어 군사 및 정치적인 합의 기관으로 발전하게 된다. 그 외에 무술을 가르치는 무학과, 편조전과 벽력포 등의 무기를 개발하여 국방력을 강화하고자 하였으나 정치적 불안으로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 중종의 후반기 개혁정치

사회면에서 조광조의 개혁정치의 여파로 소격서와 도승제를 철폐하고 향약을 실시한다. 그리고 안향을 모신 백운동서원을 세워 유교를 강화한다. 문화면에서 인쇄술의 발달과 각종 편찬사업을 전개한다. 주자도감을 설치하여 동활자를 주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성통해>, <속동문선>, <신동국여지승람> 등 각종 서적을 편찬한다. 경제면에서 도량형을 통일하고 저화와 동전 사용을 권장한다. 의복, 음식, 혼인에 사치를 금하며 민생안정에 노력한다. 그러나 이러한 진흥정책은 결국 정치적 혼란으로 인하여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며 중종의 개혁정치는 실패로 돌아간다. 

 

 

중종의 가족들

중종은 평생 12명의 부인에게서 9남 11녀의 자식을 가지게 된다. 원래 신수근의 딸 단경왕후 신씨와 결혼을 하였으나 반종이 성공하자 공신들의 반대로 그녀를 폐위시키고 장경왕후 윤씨를 맞이하게 된다. 중종의 부인과 자식은 다음과 같다. 단경왕후 신씨, 장경왕후 윤씨에게 1남 1녀(인종, 효혜공주), 문정왕후 윤씨에게 1남 4녀(경원대군(명종), 의혜, 효순, 경현, 인순공주), 경빈 박씨에게 1남 2녀(복성군, 혜순, 혜정옹주), 희빈 홍씨에게 2남(금원군, 봉성군), 창빈 안씨에게 2남 1녀(영양군, 덕흥대원군(선조의 아버지), 정신옹주), 귀인 한씨, 숙의 홍씨에게 1남(해안군), 숙의 이씨에게 1남(덕양군), 숙의 나씨, 숙원 이씨에게 2녀(정순, 효정옹주), 숙원 김씨에게 1녀(숙정옹주)

 

· 단경왕후 신씨(1487 ~ 1557)

익창부원군 신수근의 딸이며 연산군의 비 신씨의 외질녀이다. 그녀는 1499년 12세의 나이로 진성대군과 가례를 올리고 1506년 진성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왕비가 된다. 그러나 고모가 연산군의 비이고 아버지가 연산군의 매부라는 이유로 반정세력들은 중종의 간청에도 불구하고 신씨를 폐위시킨다. 그녀는 본가로 쫓겨가 있다가 1515년 장경왕후가 죽자 한때 복위가 논의되기도 하였다. 중종이 그녀가 보고 싶으면 높은 누각에 올라 그녀의 본가 쪽을 바라본다. 이 소식을 들은 신씨 부인은 궁중에 있을 때 즐겨 입었던 분홍색 치마를 본가 뒷동산 바위 위에 펼쳐 놓았다. 그 후 중종은 그녀의 분홍색 치마를 바라보면서 그리움을 달래곤 하였다. 그녀는 치마바위 전설을 남기고 홀로 자식도 없이 외롭게 살다가 7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그 후 영조 때 복위되어 단경왕후라는 시호를 받는다. 그녀의 능은 온릉으로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일영리에 있다.

 

· 장경왕후 윤씨(1491 ~ 1515)

영돈녕부사 윤여필의 딸로 고모인 월산대군의 부인 손에서 양육되어 1506년 중종의 후궁이 되어 숙의에 봉해진다. 1507년 단경왕후가 폐비가 되자 왕비에 책봉된다. 그 후 세자(인종)를 낳다가 출산 후유증으로 일주일 만에 25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능호는 회릉으로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하고 있다. 

 

· 문정왕후 윤씨(1501 ~ 1565)

영돈녕부사 윤지임의 딸로 1517년 왕비에 책봉되고 1545년 12세의 나이로 아들 경원대군(명종)이 왕이 되자 8년 동안 수렴청정을 한다. 그녀는 동생 윤원형에게 전권을 주어 인종의 외척인 윤임 일파를 제거하는 을사사화를 일으켜 윤임을 죽이고 윤원로를 귀향 보낸다. 성질이 독하고 질투가 심하여 툭하면 인종에게 "우리 모자(그녀와 경원대군)를 언제쯤 죽일 거냐"라고 하며 괴롭힌다. 그녀는 명종을 대신해 섭정을 할 때 명종을 허수아비로 만들었으며, 수렴청정이 끝난 후에도 깊이 조정에 간섭하여 조정을 시끄럽게 하였으며, 심지어 왕에게도 매질을 하며 독설을 늘어놓기도 한다. 그러나 불교 부흥을 위해 승려 보우를 총애하여 권좌에 앉히고, 승과, 도첩제를 다시 실시한다. 이에 명종은 그녀의 지나친 권력욕에 불만을 품고 을사사화 때 죽은 선비들을 신원하고 신진 사림세력들을 등용시켜 외척 세력들을 견제하려고 하였으나 번번이 그녀의 방해로 실패한다. 이러한 조정을 패권다툼의 장으로 몰아갔던 문정왕후는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그녀의 능은 태릉으로 현재 서울특별시 노원군 공릉동에 소재하고 있다.

 

· 중종의 사망

중종은 38년 2개월에 걸치는 긴 재위기간을 끝내고 세자(인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난 다음날 5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그의 릉은 정릉으로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소재하고 있다. 

 

 

유명한 사람들

· 대학자 서경덕(1489 ~ 1546)

서경덕은 지방하층관리 수의부위 서호번의 아들이며 자는 가구 호는 화담이다. 19세 때 선교랑 이계종의 딸과 결혼하였으며  스승 없이 독학으로 공부를 하였다. 43세 때 어머니의 간청으로 생원시에 응시하여 장원급제하였으나 사양하고 벼슬에 나가지 않고 학문연구와 후학 양성에 일생을 바친다. 서경덕이 살았던 그 시기는 사대사화가 일어난 시기이었다. 그는 은둔을 고집한 결과 사화에 휩쓸리지 않고 많은 학문적 업적을 쌓았으며 <화담집>과 같은 조선 성리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을 세우게 된다. 그는 주기론의 선구자로 기일원론(氣一元論)을 완성하고 인간의 죽음도 우주의 기에 환원된다는 사생일여(死生一如)를 주장하였다. 후에 이황과 이이에 의해 높이 평가되며 한국 기철학의 학맥을 형성하게 된다. 평생 은둔생활을 하며 학문을 즐기다가 5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1575년(명종 1년)우의정에 추증되었으며, 1585년에는 신도비가 세워져 개성 숭양서원, 화곡서원 등에 제향 되었다. 사람들은 서경덕, 황진이, 박연폭포를 '송도삼절'이라고 부른다. 

 

 

· 여류시인 황진이

황진이는 그녀의 확실한 생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서경덕, 벽계수와 교류한 것으로 보아 대략 조선 중기 중종과 명종 시대에 활동한 인물이다. 그녀는 시인, 기녀, 서예가, 음악가, 무희로 알려졌으며 다른 이름으로는 진랑(眞娘) 또는 기생 이름인 명월(明月)이다. 개성에서 양반인 황진사와 진씨 성을 가진 현금이라는 기생 사이에 서녀로 태어났으며, 뛰어난 미모와 재능으로 시와 그림, 춤, 서예,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황진이는 당대의 명사들과 교류하며 많은 시와 그림을 남긴다. 그녀의 대표작으로는 <만월대 회고시>, <박연폭포시> 등이 있으며, 시조 작품으로는 "청산리 벽계수야", "동짓달 기나긴 밤을" 등이 전해지고 있다. 또한, 황진이는 성리학적 지식에도 해박하여 많은 학자들과도 교류하였으며, 특히 화담 서경덕과의 인연이 유명하다. 그녀는 생불이라는 지족선사를 10년 동안 면벽 수도에서 유혹하여 파계시키고, 벽계수라는 왕족의 콧대를 꺾어 놓기도 하며, 화담 서경덕을 유혹하려다 실패하고 그의 학문과 인품에 반해 제자가 되는 등 여러 일화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녀의 죽음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없으나 마흔 전후에 죽은 것으로 전해지며 죽기 전에 자기가 죽거든 관을 짜지 말고 개미, 까마귀 등의 먹이가 되도록 해달라고 하였다. 현재 개성 근처 장단 판교리에 황진이의 무덤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