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167

유비와 조조, 초선의 눈물, 황제의 밀서, 굴신수분, 원술, 장료 세가지 죄 삼국지는 2세기말에서 3세기말까지 즉 후한 말기와 삼국시대에 나오는 인물과 역사를 배경으로 한 진수의 기천체 역사서 와 나관중의 역사소설 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삼국지에 나오는 중요한 사건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살펴보면 1. 황건적의 난, 2. 동탁의 난, 3. 관도대전, 4. 적벽대전, 5. 삼국(위, 오, 촉)의 성립, 6. 촉의 팽창, 7. 형주 전투, 8. 이릉전투, 9. 제갈량 출사표, 10. 진(晉) 나라의 천하통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삼국지에 나오는 유비와 조조, 초선의 눈물, 황제의 밀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유비와 조조 · 천자를 얻은 조조 고향 연주로 돌아간 조조는 여포 군의 기강이 무너졌을 때 공격하여 쉽게 연주성을 다시 탈환한다. 조.. 2024. 3. 15.
동탁의 난, 서주 자사 유비, 왕윤 초선 여포, 여백사, 조조 원소 손견 삼국지는 2세기말에서 3세기말까지 즉 후한 말기와 삼국시대에 나오는 인물과 역사를 배경으로 한 진수의 기전체 역사서 와 나관중의 역사소설 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삼국지에 나오는 중요한 사건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살펴보면 1. 황건적의 난, 2. 동탁의 난, 3. 관도대전, 4. 적벽대전, 5. 삼국(위, 오, 촉)의 성립, 6. 촉의 팽창, 7. 형주 전투, 8. 이릉전투, 9. 제갈량 출사표, 10. 진(晉) 나라의 천하통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삼국지에 나오는 동탁의 난과 서주 자사가 된 유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동탁의 난 · 동탁의 등장 십상시들을 죽일 때 환관 장양이 몰래 황제 소제와 그의 동생 진류왕을 납치하여 도망친다. 장양은 추격하여 오는 군.. 2024. 3. 15.
진수의 삼국지 구성과 개요, 장각 황건적의 난, 도원결의, 십상시의 난 는 2세기말에서 3세기말까지 즉 후한 말기와 삼국시대에 나오는 인물과 역사를 배경으로 한 진수의 기천체 역사서 와 나관중의 역사소설 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말한다. 앞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많은 대중들에게 알려져 있는 나관중의 소설 를 근거로 하여 최대한 원전에 가깝게 이야기들을 펼쳐 볼 것이다. 오늘 여기에서는 에 나오는 구성과 개요, 황건적의 난, 도원결의, 십상시의 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삼국지 개요 · 구성과 개요 2세기말에서 3세기말까지 즉 후한 말기와 삼국시대에 나오는 인물과 역사를 배경으로 한 진수의 기천체 역사서 와 나관중의 역사소설 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말한다. 중국이 위, 오, 촉 세 나라로 나누어 싸웠던 시대가 삼국시대이다. 서진의 진수가 쓴 기전체 역사서 는 중국 삼국시대의 정.. 2024. 3. 15.
삼국지의 삼대 대전에 대하여 - 관도대전, 적벽대전, 이릉전투 삼국지는 2세기말에서 3세기말까지 즉 후한 말기와 삼국시대에 나오는 인물과 역사를 배경으로 한 진수의 기천체 역사서 와 나관중의 역사소설 를 말한다. 삼국지에는 많은 역사적 인물이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현재 많이 인용되고 있는 사자성어들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서는 그 시대의 정치적 국면을 크게 전환시키는 전쟁인 삼국지의 삼대 대전(관도대전, 적벽대전, 이릉전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관도대전 · 시대적 배경 한나라 말 황건적 란으로 나라가 혼란한 시기에 유비, 관우, 장비는 도원에서 천하를 구하려는 결의를 한다. 한편 여포를 장군으로 가지고 있는 동탁은 환관 십상시의 난을 이후에 권력을 차지한다. 한편 조정은 동탁이 주축인 동탁군과 왕윤을 주축으로 하는 반동탁 연합군이 서로 대치를 하고 있다. 이때.. 2024. 3. 14.
경국지색의 삼대 요녀(하 걸왕 말희, 은 주왕 달기, 주 유왕 포사)는? '나라를 망하게 하는 아름다운 여자'라는 의미인 '경국지색(傾國之色)의 3대 요녀'는 먼저 하나라에서 우왕이 시조이며 마지막 왕은 걸왕으로 그의 애첩은 말희이다. 다음 상나라(은나라)는 탕왕에서 마지막 왕은 주왕으로 애첩 달기가 유명하다. 끝으로 주나라는 무왕에서 마지막 왕은 유왕으로 그의 애첩 포사가 있다. 이와 같이 각 나라의 말기에는 왕이 애첩의 여색에 빠져 주지육림과 환락을 즐기다가 망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경국지색의 3대 미녀(말희, 달기, 포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하 걸왕의 말희 · 주지육림 말희는 산동 유시 씨의 딸로 하나라 걸왕에게 공물로 바쳐진 절세미녀이다. 결왕은 그녀를 왕비로 삼아 경궁이라는 큰 궁전을 짓고 매일 연회를 개최하고 방탕한 생활과 폭정을 일삼는다. 궁전 연못 바닥.. 2024. 1. 25.
해학과 풍자의 달인 순우곤 - 불비불명 일비충천 일명경인 추기 골계 먼저 골계(滑稽)란 익살스러운 행동이나 말을 통하여 어떤 교훈을 주는 것을 말한다. 순우곤과 동방삭은 사마천의 에 나오는 인물들이다. 이러한 골계에 대하여 사마천은 "천도는 넓고도 넓다. 어찌 위대하다고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일상적인 하찮은 말 중에도 어려운 일을 풀어낼 수 있는 실마리가 있는 법이다."라며 공자의 육경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라고 말한다. 지난번 시간에는 동박삭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니 여기에서는 해학과 풍자의 달인 순우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생애순우곤(BC 385 ~ 305)은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 위왕 때 학자이며 사신이다. 그는 집안이 가난하여 데릴사위로 처갓집에 살았으며 키는 7척(160cm)이 안되고 해학과 풍자를 잘하였다. 제나라의 사신으로 여러 차례 다니면서 많은 문제를.. 2024.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