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조선왕조실록

제14대 선조실록 1 - 선조의 등극과 치세 및 선조의 가족들, 김효원 심의겸

by 이야기마을촌장 2024. 8. 5.

조선의 제14대 국왕 선조(1552 ~ 1608)의 이름은 이환(李昖)으로, 중종의 아들 덕흥대원군 이초의 셋째 아들 하성군 균(鈞)이며, 어머니는 하동부대부인 정씨이다. 선조실록은 총 221권 116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567년 7월부터 1608년 2월까지 40년 7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실록의 편찬은 1609년 7월에 시작하여 다음 해 11월에 완성한다. 이항복, 기자헌이 총재관으로 총 222인이 편찬 작업에 투입된다. 임란 전의 기록은 소실되어 양이 적으나 임란 이후의 기사는 양이 방대하게 되었다. 그리고 광해군 당시 북인에 대한 칭찬이 과도하여, 광해군이 물러나고 서인이 집권하자 실록을 개정하여 <선조수정실록>이 편찬된다. 

선조목릉

 

선조의 등극과 치세

· 성리학적 왕도정치 선조의 등극

명종은 인순왕후를 비롯하여 7명의 부인들 두었으나, 자식은 인순왕후 심씨에게서 순회세자만을 얻는다. 그러나 순회세자는 13세 어린 나이에 요절하여 후사를 잇지 못하였다. 명종이 후사가 없이 죽자 인순왕후 심씨는 명종의 유명과 종실의 천거로 중종의 아들 덕흥대원군 이초의 셋째 아들 하성군을 양자로 받아들이고 수렴청정을 하게 된다. 결국 1567년 7월, 16세의 하성군조선 제14대 국왕 선조로 등극하게 된다. 중종의 서손인 하성군의 즉위로 조선의 왕은 후궁에서 태어난 서얼 출신 방계혈족이 왕위를 잇게 된다. 인순왕후는 선조가 정사처리에 능숙하고 친정을 할 능력이 있다고 판단하여 1년 만에 섭정에서 물러난다. 선조는 학문에 매진하고, 매일 경연에 나가는 등 성리학적 왕도정치의 추구하는 왕이 된다. 

 

· 선조의 치세

선조는 훈구, 척신세력을 몰아내고 사림세력을 대거 등용한다. 따라서 외척중심의 척신시대가 사라지고 사림중심의 붕당정치시대가 도래하게 된다. 또한 성리학의 양대 산맥인 이황이이를 나라의 스승으로 극진히 모신다. 과거제를 개편하여 현량과를 부활한다. 기묘사화 때 죽은 조광조를 영의정에 봉하고 관련된 사림들을 신원하고, 을사사화를 일으켜 녹훈을 받은 이기, 윤원형의 등을 삭훈하여 민심을 안정시키고 사림을 중용하여 문치를 실시하여 조정을 평화롭게 만든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조정의 평화는 이조전랑의 자리들 두고 김효원의 동인과 심의겸의 서인으로 나누어져 당파 싸움이 시작된다. 그 후 1591년 세자 책봉문제로 서인이 실각하고 동인이 득세한다. 이때 정철을 사형시켜야 한다는 과격파인 북인과 귀양을 보내야 한다는 온건파인 남인으로 다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이 조정은 당파싸움에 휘말려 불안하여 지고 국력도 쇠약해 지자 변방 야인들은 1583년, 1587년에 걸쳐 대규모의 반란을 일으키자, 온성부사 신립과 첨사 신상절로 하여금 두만강을 건너 소굴을 소탕한다. 한편 1590년 왜의 동태도 수상하여 조정은 통신사 황윤길과 부사 김성일을 왜국으로 보내 동태를 살피기로 한다. 이때 서인인 황윤길은 전쟁에 대비하여야 한다고 하였으나, 동인인 김성일은 도요토미의 인물이 보잘 것 없고 전쟁 대비를 하면 민심만 혼란하게 한다고 보고한다. 결국 동인이 우세하여 김성일의 주장대로 전란에 대비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이 난다. 1592년 4월 왜가 대대적인 침략을 감행하니 이가 곧 '임진왜란'이다. 고니시 부대에 의해 부산포가 함락되면서 왜군은 빠른 속도로 북상하여 충주와 한양이 함락된다. 선조는 의주까지 피난을 가고 명나라에 원군을 청한다. 다행히도 이순신 장군의 활약과 의병의 봉기, 명나라의 원군으로 다시 왜군을 격퇴하고 한양을 되찾는다. 전쟁은 한동안 소강상태에 빠졌다가 1597년 다시 정유재란이 발생하였다가 도요토미가 사망하자 왜군들은 본국으로 철수한다. 7년동안 지속된 임진왜란이 끝나자 선조는 피해 복구와 민심안정에 전력을 다한다. 사치를 배격하고 농토를 개간하고 양식을 절약하는 등 민간 경제에 힘쓴다. 전란 중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신분에 관계없이 공신과 녹훈을 한다.

 

· 사망

선조의 전란 복구의 노력은 거듭되는 흉년으로 인해 효과를 보지 못하고, 조정은 당쟁으로 혼란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어간다. 결국 선조는 신하들에게 자신의 계비 소생 영창대군을 부탁한다는 유언을 남기고 1608년 59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그 유언이 오히려 영창대군의 수명을 단축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만다. 그의 능은 목릉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소재하고 있다.

 

 

선조의 가족들

선조는 정비 의인왕후 박씨를 비롯하여 총 8명의 부인을 두고 14남 11녀의 자식을 두었다. 그의 부인과 자식은 다음과 같다. 의인왕후 박씨는 자식이 없고 , 인목왕후 김씨에게 1남 1녀(영창대군, 정명공주), 공빈 김씨에게 2남(임해군, 광해군), 인빈 김씨에게 4남 5녀(의안, 신성, 정원(원종, 인조의 부), 의창군, 정신, 정혜, 정숙, 정안, 정휘옹주), 순빈 김씨에게 1남(순화군), 정빈 민씨에게 2남 3녀(인성, 인흥군, 정인, 정선, 정근옹주), 정빈 홍씨에게 1남 1녀(경창군, 정정옹주), 온빈 한씨에게 3남 1녀(흥안, 경평, 영성군 정화옹주)를 낳는다. 

 

· 덕흥대원군 이초(1530 ~ 1559)

중종의 여덟 번째 아들로 창빈 안씨의 소생이며, 1538년 덕흥군에 봉해진다. 1542년 판중추부사 정세호의 딸과 혼인하여 하원군, 하릉군, 하성군(선조)을 낳고 30세의 나이로 병사한다. 셋째 아들 하성군이 선조가 되자 1570년 덕흥대원군으로 추존된다. 묘는 경기도 의정부시 수락산에 있다.  

 

· 의인왕후 박씨(1555 ~ 1600)

번성부원군 박응순의 딸이며 1569년 왕비로 책봉되었다. 몸이 약하여 아이를 낳지 못하고 4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그녀의 능은 목릉으로 선조와 함께 묻혀 있다. 

 

· 인목왕후 김씨(1584 ~ 1632)

연흥부원군 김제남의 딸로 의인왕후가 죽고 난 후 1602년 19세의 나이로 왕비에 책봉되어 1606년에 영창대군을 낳는다. 선조는 늦은 나이로 낳은 영창대군을 총애하여 이미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을 폐하고 그를 세자로 책봉할 생각을 품는다. 이에 유영경 일파가 선조의 뜻에 부응하여 적통을 주장하며 영창대군을 세자로 추대하려 하였다. 그러나 선조가 영창대군을 부탁한다는 유언을 남기고 갑자기 죽는 바람에 실패하게 된다. 광해군은 왕이 되자 유영경 일파는 몰락하고 이이첨 등의 대북파가 정권을 잡게 된다. 그들은 선조의 유언이 신경 쓰여 영창대군을 경계한다. 그러던 중 1613년 3월 조정 대신의 서얼들인 박응서, 심우영, 서양갑, 박치의, 이경준 등 7명이 문경 새재에서 상인을 죽이고 은을 강탈하여 옥에 가두는 '7서의 옥'이 일어난다. 이이첨 등은 이들을 심문하여 '김제남이 주도하여 영창대군을 옹립해 인목대비의 수렴청정을 위한 거사 자금 마련하는 역모 사건'으로 자백을 받아낸다. 왕권의 정통성이 없어 1609년 선조의 첫째 왕자 임해군까지 제거하였던 광해군은 이 사건을 빌미로 영창대군을 폐서인하여 강화도로 유배한 후 이듬해 살해한다. 그리고 인목왕후의 아버지 김제남을 죽이고, 인목왕후를 폐비시킨 후 서궁에 유폐시킨다. 결국 대북파의 의견에 따라 패륜을 저지른 광해군은 서인들에게 반정의 빌미를 제공하게 되어 1623년에 인조반정이 일어나게 된다. 그 결과 광해군은 폐위되고 인목왕후는 복위되어 대왕대비가 된다. 이 사건은 이이첨 등이 박응서 등을 이용해 무고하여 일으킨 것으로 규정되었다. 그 후 인목대비는 왕실의 최고 어른으로서 훈민정음으로 하교를 하기도 하였으며, 금강산 유점상에는 그녀가 쓴 친필 <보문경>이 일부 남아 있다. 그녀는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 선조와 의인왕후가 있는 목릉에 묻히게 된다. 

 

· 영창대군(1606 ~ 1614)

선조의 14명의 아들 중에 유일한 적자로 인목왕후 김씨의 소생으로 이름은 의(㼁)이다. 선조는 늦은 나이로 낳은 영창대군을 총애하여 이미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을 폐하고 그를 세자로 책봉할 생각을 품는다. 이에 유영경 일파가 부응하였으나 선조가 급사하는 바람에 실패하게 된다. '7서의 옥'에 연루되어 강화도에 유배된 영창대군은 1614년 봄, 이이첨의 명을 받은 강화도 부사 정항에 의해 살해된다. 이때 그의 나이는 9살이었다. 그의 무덤은 현재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고은리에 있다.

 

· 임해군(1574 ~ 1609)

선조의 서출 장남이며 공빈 김씨의 소생으로 이름은 진이다. 세자 책봉 당시 선조에게는 적출 소생이 없어 당연히 세자로 책봉되어야 하나 성격이 난폭하여 군왕의 기질이 없다고 하여 세자로 책봉되지 못하고 친동생 광해군이 세자로 책봉된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함경도에 근왕병을 모집하러 갔다가 반란군 국경인 일당에게 잡혀 왜장 가토에게 포로로 넘겨진다. 이후 몇 번 이송되었다가 겨우 석방되어 한양으로 돌아온다. 이후 포악한 성격과 포로로 잡혔다는 굴욕감에 술을 먹고 사람을 구타하거나 재물을 약탈하는 등 행패를 부렸다. 임란이 끝난 1603년 사옹원도제조로 있다가 1608년 선조가 죽자 세자 봉작 문제로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된다. 그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대북파들의 주청으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죽임을 당한다.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신원된다. 

 

· 신성군(? ~ 1609)

선조의 넷째 아들이며 인빈 김씨 소생으로 이름은 후이다. 그는 한성부우윤 신립의 딸과 결혼하여 선조의 사랑으로 세자의 물망에 오르기도 하였다. 임란 중에 피란 가다가 병사한다.

 

· 정원군(1580 ~ 1619)

선조의 다섯째 아들이며 인빈 김씨 소생이다. 1587년 정원군으로 봉해졌으며, 좌찬성 구사맹의 딸과 결혼하여 능양, 능원, 능창대군을 얻는다. 인조반정으로 아들 능양대군이 왕(인조)이 되자 대원군이 되었다가 다시 원종으로 추존되고, 그의 부인 구씨는 인헌왕후로 추존된다. 그의 능은 장릉으로 경기도 김포에 소재하고 있다. 

 

※ 지면관계상 이어지는 내용은 다음 시간에 계속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