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제9대 국왕 성종(1457 ~ 1494)의 이름은 혈(娎)로 의경세자(덕종)의 둘째 아들 자을산군이며 어머니는 소혜왕후 한씨이다. 성종실록은 총 297권 150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469년 11월부터 1494년 12월까지 25년 1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원명은 '성종강정대왕실록'이다. 실록의 편찬은 성종사후 4개월 뒤 1495년 4월 춘추관에 실록청을 두고 편찬을 시작한다. 실록에는 김일손의 '사초'와 단종을 추모하고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난한 김종직의 '조의제문', 이극돈이 정희왕후 상중 기생과 놀아난 것을 비난한 김종직의 '화술주시'가 실려있어 연산군때 무오사화의 원인이 된다. 실록은 4년 6개월 만인 1499년 3월에 완성되어 네 곳의 사고에 보관된다. 편찬작업에는 영의정 신승선, 우의정 성준이 총재관을, 지관사 이극돈과 안침 등 15인이 실록청 당상, 그 외 74인이 실록청 낭청이 되어 실무를 수행한다.
성종의 출생과 등극
· 출생과 어린 시절
성종은 1457년 세조의 큰아들 의경세자(덕종)와 한확의 딸이며 세자빈인 한씨(소혜왕후, 인수대비) 사이에 태어난 둘째 아들로 이름은 혈(娎)이다. 태어난 지 두 달도 못되어 아버지 의경세자가 사망하자 세조의 손에 궁중에서 키워진다. 그는 도량이 넓고 천품이 좋고 시, 서화에 뛰어나 세조의 총애를 받는다. 1461년 자산군에 봉해졌다가 1468년 자을산군이 된다. 1467년 11세에 한명회의 딸(공혜왕후)과 결혼을 한다.
· 정희왕후 윤씨와 한명회의 결탁
예종이 재위 14개월 만에 사망하자 예종의 큰아들 인성대군은 풍질로 3살 때 죽고 없고 둘째 아들인 제안대군은 당시 4세였다. 왕대비였던 예종의 어머니 정희왕후 윤씨는 제안대군이 너무 어리다는 이유로 왕위를 물려주지 않는다. 당연히 다음으로 세조의 장손이고 총애를 받는 16세 월산대군이 있었다. 그러나 정희왕후는 한명회와 정치적인 결탁을 하고 월산군이 건강이 좋지 못하다는 거짓 핑계를 대며 둘째인 13세 자을산군으로 하여금 왕위를 계승하게 한다. 이때 정희왕후는 자신의 장자인 의경세자의 아들 제안대군에게 왕위를 주려하나, 한명회는 자신의 딸(공혜왕후 한씨)과 결혼한 사위 자을산군을 추천한다.
· 등극과 수렴청정
자을산군으로 결정한 정희왕후와 한명회 등의 권신들은 이러한 선택이 왕실 종친들의 반반을 가져올 것이라는 것을 알고 예종이 승하한 그날 바로 실행에 옮긴다. 왕대비인 정희왕후 윤씨는 자신의 장자 의경세자(덕종)의 둘째 아들인 13세의 자을산군을 왕으로 선포한다. 그가 바로 조선의 제9대 국왕 성종이다. 어린 성종을 대신해 자성대왕대비(정희왕후)는 7년 동안 섭정을 하고 과감하고 결단력 있는 성품으로 왕권을 안정시킨다. 성종이 성년이 되자 섭정을 마치고 1476년 정치 일선에서 물러난다.
· 왕실세력 제거로 왕권 안정
당시 세종의 셋째 아들 임영대군의 아들이며 문무를 겸비한 인물로 구성군이 있었다. 그는 세조의 총애를 받으며 이시애의 난에 평정하고 돌아와 오위도총부 총관을 거쳐 나이 28세에 영의정이 된다. 섭정을 하는 정희왕후와 원로 대신들은 세조가 왕위를 찬탈한 경험을 하였기에 구성군을 왕권을 위협하는 인물로 간주하고 집요하게 탄핵을 하기 시작한다. 결국 구성군은 유배되어 10년을 살다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그 후 '종친의 관료 등용 금지'를 법으로 정하고 <경국대전>이 완성된 후 이 법은 정착된다.
· 정희왕후의 섭정
정희왕후는 왕위계승에서 밀려난 제안군과 월산군을 대군으로 격상시키고 월산대군을 좌리공신 2등에 책봉하며, 귀양 보낸 구성군의 가산을 몰수하지 않고 양미를 지급함으로써 종실의 불만을 무마시키고 왕실 권위를 높이려고 하였다. 그리고 호패법을 폐지하여 민간에 대한 관의 감시를 줄이게 하고, 경국대전의 교정작업을 완성하고, 2품 이상 관원의 도성 밖 거주를 금지하여 조정 정책 결정의 신속성을 도모한다. 그리고 숭유억불 정책을 강화하여 화장을 없애고 승려의 도성 출입을 금지한다. 전국 교생에게 <삼강행실>을 강습하게 하여 유교를 장려한다. 또한 민생경제를 위해 고리대를 하는 장리소를 줄이고, 뽕나무를 재배하고 누에 잠실 살치하고 목화밭을 조성하여 의류산업의 발달을 촉진한다.
성종의 도학정치와 태평성대
· 사림파 등용
성종이 13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대왕대비 정희왕후는 7년 동안 수렴청정하여 왕권을 다진 후 1476년이 되자 정치에서 물려난다. 처세술에 능한 성종은 편전을 장악하고 원상제도를 폐지하고 왕명출납과 서무 결제권을 다시 찾는다. 김종직 등 젊은 사림세력과 가까이하며 권신들을 견제한다. 1478년 참판이하 문무신을 교차하여 권력의 집중을 막고, 임사홍, 유자광 등 공신세력을 유배시켜 신진 사림세력의 길을 열어준다. 1480년대 성종은 정몽주와 길재의 학맥을 잇는 사림세력을 대대적으로 등용하여 사림세력과 훈구세력 간의 견제와 균형으로 왕권을 안정시키는 동시에 유교사상을 정착시켜 도학정치를 실현해 나간다. 그 결과 조선 개국이래 최고의 문화 황금기로 가장 평화로운 태평성대가 열리게 된다.
· 숭유억불정책
성종은 불교 억압정책으로 '도승법'을 혁파하고 승려를 엄하게 통제하며 대부분의 사찰을 폐쇄한다. 그리고 유교 숭상정책으로 성균관에 존경각을 짓어 경전을 소장하게 하고, '양현고'를 설치하여 학문연구에 후원한다. 또한 성균관, 향교에 학전과 서적을 나누어주어 관학을 진흥시킨다.
· 융성한 편찬사업
성종의 도학정치사상에 입각한 문화진흥정책으로 말미암아 노사신 등의 <동국여지승람>, 서거정 등의 <동국통감>, <삼국사절요>, <동문선>, 강희맹 등의 <오례의>, 성현 등의 <악학궤범> 등 각종 서적이 편찬되었다. 또한 세조 때부터 편찬하여 왔으며, 고려초부터 조선초까지 100여 년간 반포된 법전, 교지, 조례, 관례 등을 총망라한 조선 최고의 법전 <경국대전>을 1485년에 완성한다.
· 국방 외교정책
1479년 좌의정 윤필상을 도원수로 삼아 압록강 건주야인들의 본거지를 정벌하고, 1491년에는 함경도관찰사 허종을 도원수로 하여 두만강 건너 우디거 부락을 모두 정벌한다. 그 결과 조선초부터 변방을 위협하여 오던 야인 세력을 완전히 소탕하여 국경을 안정시킨다. 그리고 남쪽의 왜구들도 외교적으로 잘 관리하여 다스려 전쟁의 위협을 없앤다.
※ 지면관계상 이어지는 내용은 다음 시간에 계속하겠습니다.
'역사 > 조선왕조실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9대 성종실록 3 - 사림파의 등장과 세력 균형 및 각종 서적 편찬 (3) | 2024.07.31 |
---|---|
제9대 성종실록 2 - 성종의 가족들과 폐비윤씨사건, 소혜왕후(인수대비) (67) | 2024.07.31 |
제8대 예종실록 - 정희왕후의 수렴청정 및 남이의 역모사건, 제안대군 (63) | 2024.07.30 |
제7대 세조실록 2 - 세조 가족과 도운 사람들 정희왕후 권람 한명회 신숙주 (61) | 2024.07.29 |
제7대 세조실록 1 - 수양대군의 왕위찬탈 및 세조의 업적과 강권정치, 광릉 (64) | 202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