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은 페루, 볼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지에 거주하는 잉카(Inca), 아라우카노(Mapuche), 아마존 부족 등이 있다. 그중 잉카 문명은 거대한 제국을 이루었으며, 계단식 농업과 정교한 도로망을 구축하였으며, 그들만의 독특한 신화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아마존 지역 부족들은 밀림에서 자급자족하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을 살아갔다. 남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대표적인 신화로는 태양신 인티(Inti)와 그의 자손들이 인간을 창조하고 문명을 세운 이야기가 담겨 있는 잉카 문명의 창조 신화인 잉카 신화가 있다. 여기에서는 잉카 문명과 잉카 신화(창조, 건국 신화) 및 주요 신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잉카 문명
· 잉카 문명
잉카 문명은 현재의 페루를 중심으로 안데스 산맥에 위치했던 거대한 제국으로, 1438년부터 1533년까지 번성하였으며 수도는 쿠스코였다.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 하에서 황제인 사파 잉카는 태양신 인티의 화신으로 여겨졌고, 대지 여신 파차마마와 같은 자연신을 숭배하였다. 잉카인들은 정교한 석조 기술로 마추픽추와 같은 건축물을 세웠으며, 화폐 없이 물물교환과 노동력을 기반으로 경제를 운영했다. 계단식 농업을 통해 고산지대에서도 효율적으로 농사를 지었으며, 제국은 쿠스코를 중심으로 연결된 도로망으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스페인 정복자 프란시스코 피사로의 침략과 전염병, 내분으로 인해 1533년에 멸망하였다. 잉카 문명은 독특한 문화와 기술로 현대에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잉카 신화
· 잉카의 창조신화
비라코차(Viracocha)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지역 잉카문명에 나오는 위대한 창조의 신이다. 그는 태양과 폭풍의 신이기도 하였으며, 머리에 태양을 왕관으로 쓰고, 번개가 그의 손이며, 그의 눈에서 흐르는 눈물이 비가 되었다. 또한 안데스 산맥에 풍요와 수확을 관장하는 대지 여신 파차 마마(Pachamama)와 같은 자연신들이 숭배되었다. 잉카 신화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신들 간의 관계를 말하는 독특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잉카 창조신화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창조신 비라코차는 먼저 혼돈을 질서로 바꾸기 위해 세상을 창조한다. 그는 빛과 어둠을 나누어 낮과 밤을 구분하고, 태양과 달, 별을 하늘에 배치하여 시간의 흐름을 정립한다. 그다음, 비라코차는 대지를 형성하며 산과 계곡을 만들고, 강과 바다를 통해 물의 순환을 완성한다. 이러한 창조 과정은 자연의 조화와 균형을 상징하며, 신성한 질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비라코차는 이 모든 창조를 통해 인간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이후 인간을 창조한다.
비라코차는 신성한 티티카카 호수에서 돌에 생명을 불어넣어 최초의 인간인 거인을 창조한다. 그러나 이들이 신을 존경하지 않고 폭력적이며 반항하자, 대홍수로 거인족을 멸망시키고 남은 돌로 새로운 인간을 다시 창조한다. 그 후 비라코차는 인간에게 농업, 예술, 건축 등 문명의 기초를 가르쳤으며, 이는 잉카문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세상을 떠날 때 태평양으로 천천히 걸어가며 사라진다. 그의 모습은 종종 거지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 잉카제국의 건국신화
잉카 제국에는 다양한 건국 신화가 있는데, 대표적인 신화에는 태양신 인티(Inti)가 등장하는 잉카제국의 건국 신화가 있다. 잉카 제국의 주신인 태양신 인티(Inti)는 아들 만코 카팍(Manco Capac)과 딸 마마 오클로(Mama Ocllo)를 지상으로 내려보내면서, '타팍 야우리'라는 금지팡이를 던져 사라지는 곳에 나라를 세우라고 한다. 그들은 땅에 내려가 금지팡이가 떨어진 곳을 찾으니, 쿠스코 근처에 있는 동굴에서 발견된다(티티카카 호의 물에서 나왔다는 전설도 있음).
그곳이 바로 ‘세계의 배꼽’ 쿠스코(Cusco)였다. 이곳을 중심으로 수도를 두고 세운 나라가 타완틴 수유(Tahuantin suyu) 4개의 지역, 즉 동서남북을 지배한다는 뜻의 잉카 제국이다. 만코 카팍은 잉카 제국의 첫 번째 황제인 동시에 쿠스코 왕조의 창시자가 됨으로써 잉카 제국의 건국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 페루에서는 이것을 기념하기 위해 6월에는 태양신 인티를 숭배하는 인티 라이미 축제가 열리고, 11월에는 잉카제국의 첫 번째 황제 망코 카픽의 강림을 기념하는 푸노 데이 축제가 열린다.
주요 신들
잉카 문명은 풍부한 신화와 종교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신들을 숭배했다. 잉카의 신들은 자연, 천체, 그리고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자연과 인간, 신성한 질서의 조화를 강조하는 등 잉카 문명의 독특한 세계관을 반영한다.
· 잉카의 신들
아푸: 산의 신 또는 정령. 아마루: 붉은 코, 라마 머리, 타루카 뿔, 물고기 꼬리를 가진 뱀 또는 용의 모습으로 지혜와 물의 상징이다. 악소맘마: 감자의 여신. 아푸 카테킬: 낮과 선을 상징하는 천둥과 번개의 신. 챠스카: 아침별, 새벽, 황혼의 여신, 미와 꽃의 여신으로 금성을 상징한다. 일라파: 천둥, 번개, 비의 신으로 재규어나 퓨마를 상징한다. 인티: 태양의 신. 콜라쉬: 잉카 이전의 달의 신. 콘(와콘): 비바람의 신으로 눈이 튀어나온 고양이 얼굴을 하고 트로피 헤드와 지팡이를 들고 있다. 말쿠: 산의 힘을 상징하는 신으로 콘도르 모습. 마마 코카: 행복의 여신. 마마 올파: 가슴이 여러 개인 다산의 여신으로 죽은 후 코가 식물을 만들어 냄. 마마 니나: 불, 화산의 여신. 퀴노아 마마: 퀴노아 곡물의 여신. 마마 쿠차: 바다와 물고기의 여신. 파차 마마: 대지의 여신, 물과 음식의 제공자이며 자연의 보호자로 불과 지진의 신 파차카마크의 아내이다. 이 둘 사이에 태양신 인티와 달의 여신 마마 킬라가 태어난다. 마마 킬라: 결혼, 축제, 달의 여신. 마마 사라: 곡식의 여신. 마마 웨이: 공기와 바람의 여신으로 새들의 보호자. 파차카마크: 불, 하늘, 구름, 지진의 신이다. 이치마족 신화에서 파차카막은 2세대 인간을 창조한 콘을 물리친 후, 새로운 질서를 세우며 3세대 인간을 창조한다. 파랴카: 잉카 이전의 물의 신, 폭풍의 신, 창조신이다. 코일루르: 별의 여신. 퀼루르: 빛의 신. 솔리마나: 화산과 지진의 신. 수페이: 죽음의 신(악마)으로 긴 뿔과 귀, 흉악한 머리, 매우 예민한 눈,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악마를 닮은 인간으로 묘사된다. 수페이는 매력적인 미남이나 미녀로 변신하는 능력이 있다. 우르피이와차이: 새와 물고기 창조 여신. 비라코차: 창조신. 태양, 달, 별, 인간을 창조한다. 야나냥카와 투타냥카 : 어둠과 밤의 쌍둥이 신.
'신화 > 각종 신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나안 신화 - 바알과 얌 싸움 및 바알과 모트의 갈등 그리고 부활, 주요 신들 (24) | 2025.04.24 |
---|---|
중앙 아메리카 신화 2 - 마야 문명과 신화의 개요 및 포폴 부의 마야 신화 (12) | 2025.04.22 |
중앙 아메리카 신화 1 - 아즈텍 문명과 신화의 개요 및 아즈텍 창조 신화 (13) | 2025.04.22 |
북아메리카 신화 2 - 이로쿼이와 휴톤 족의 신화 및 미국 신화(빅풋, 폴 번얀) (17) | 2025.04.22 |
북아메리카 신화 1 - 신화의 분류와 북미신화(아르공퀸족, 나바호족, 천둥새) (16)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