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시를 쓸 수 있으며, 이왕이면 좋은 시를 쓰고 싶어 한다. 그러나 좋은 시를 쓴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만은 아니다. 좋은 시는 좋은 시 나름대로 갖추어야 하는 요건과 조건이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시를 창작하는 데 많이 사용되는 상징시에서 상징의 종류와 구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상징이란?
· 상징법 (Symbolism)
상징법은 시나 문학 작품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법으로, 특정한 단어나 이미지가 그 자체 이상의 의미를 가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상징은 보통 추상적인 개념을 더 구체적이고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독자에게 더 깊은 의미와 감정을 전달한다. 시에서의 상징주의는 19세기말 보들레르와 같은 프랑스 상징파 시인들에 의해 체계화된다. 상징주의는 사실주의, 과학적 리얼리즘에 반하여 인간의 내면세계와 상상력을 중요시한다. 상징은 가시적인 사물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떤 사상이나 관념을 암시한다. 상징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다층적 의미 : 하나의 상징이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어, 해석에 따라 다양한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2. 함축성 : 상징은 짧고 간결한 표현으로 깊은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3. 시각적 이미지 : 상징을 사용하면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이고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더 강렬한 인상을 남길 수 있다.
· 상징의 예
예를 들면 유치환의 <깃발>에서 '깃발'은 '이상을 향한 낭만적인 향수'를 상징하고, 서정주의 <국화옆에서>에서 '국화'는 '성숙한 여인의 마음'을 상징한다. 또 김동명의 <파초>에서 '파초'는 '잃어버린 조국에 대한 그리움'을 상징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장미'는 사랑과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빨간 장미는 열정적인 사랑을, 흰 장미는 순수함을 상징한다. "그녀는 빨간 장미처럼 피었다."에서 장미는 열정적인 사랑과 아름다움을 의미한다. '비'는 슬픔이나 정화를 상징하며, 비가 내리는 장면은 흔히 슬픔이나 고통을 씻어내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비가 내리면 그의 눈물도 함께 흐른다."에서 비는 슬픔과 정화를 의미한다. '길'은 인생이나 여정을 상징하며, 길 위에 있는 상황은 흔히 인생의 여정에서의 도전을 나타낸다. "그는 끝없는 길을 걷는다."에서 끝없는 길은 인생의 여정을 의미한다.
· 상징의 어려움
실제 시인이 문학이나 시에서 상징을 사용하는 데에 굉장히 어려움을 느낀다. '문학적 상징'은 심상이나 이미지의 일종으로 본다. 예를 들면 장미꽃에서 장미꽃이 하나의 구체적인 감각적 인상을 되살리는 데 그치면, 그것은 하나의 이미지에 불과하다. 그러나 거기서 나아가 '정열적인 사랑'이나 '여인의 아름다운 젊음', '찬란한 사랑의 아름다운 아픔'을 가리키거나 암시한다면 그때에 장미꽃은 상징이 된다. 예를 들면 기형도의 <빈 집>에서 "가엾은 내 사랑 빈 집에 갇혔네"에서 '빈집'은 무엇을 말하는지 알기가 어렵다. 이는 원관념이 생략된 감춤이 강화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직유와 은유는 두 사물을 비교하고 비교되는 두 사물이 시에 나타나지만 상징은 원관념을 숨겨 시에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시가 직유에서 은유, 은유에서 상징으로 갈수록 원관념을 감추는 것이 심화되기 때문에 상징은 어렵다고 한다. 김수영의 <풀>에서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에서 '풀'은 원관념인 '민중'을 생략한 구조이다. 또한 상징은 다수의 원관념을 가지고 있어 추정하기 어렵고 모호하다. 따라서 풍부한 상상력을 요구한다. 상징은 비유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한다. 상징은 어렵지만 구사하면 고급적인 시가 된다.
· 상징적 이미지
이와 같이 원관념이 나타나지 않고 빈 집이라는 보조관념만 나타나는 것을 '상징적 이미지'라고 한다. 상징은 원관념이 생략된 은유법과 같다고 말할 수 있다. 이미지는 감각적 이미지, 비유적 이미지, 상징적 이미지로 나누어진다. 이는 추상적인 관념을 구체적인 이미지에 의존하여 감각적이고 감성적인 것으로 바꾸는 능력인 상상력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상직적 이미지는 암시성, 다의성, 입체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아름다운 여인'이라고 하면 너무 추상적이라서 실감이 나지 않는다. 그러나 '꽃 같은 여인'이라고 하면 여인의 이미지가 시각적으로 구체화되면서 시적인 효과가 나타난다.
· 상징의 종류
상징은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1. 원형상징 : 인류의 보편적이고 원초적 이미지의 상징이며, 모든 이미지의 바탕이 되는 상징으로 가장 호소력이 크다. 따라서 초심자는 의식적으로 원형상징을 응용할 필요가 있다. 원형상징은 인간적인 꿈, 소망, 원망을 암시하며 계단, 산, 나무, 탑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주로 원형상징에는 해(희망), 물(정화, 탄생), 태양(광명), 별(소망), 어둠(죽음), 대지(어머니, 생산), 별(소망), 눈(순결), 사막(정신적 불모, 죽음), 바람(죽음, 호흡) 등이 있다. 2. 관습상징 : 의미와 내용이 관습적으로 널리 보편화된 상징으로 비둘기는 평화, 십자가는 기독교, 월계관은 승리, 백합은 순결, 태극기는 대한민국, 해와 달은 임금, 연꽃은 불교, 매난국죽과 소나무는 지조와 절개를 상징한다. 그러나 관습상징은 항상 그런 것을 의미하지는 않고 시대와 사람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관습상징은 시대적 제약을 받고 독창성이 없기 때문에, 문맥에 따라 변형시켜 창조적인 개인 상징으로 응용해야 한다. 3. 개인상징 : 개인의 체험과 상상력에 의해 창조된 이미지 상징으로 돈, 훈장, 표지판, 중앙선 등과 같이 인간의 삶은 모두 상징 속에 살고 있다. '시란 언어의 상징성을 이용하여 새롭고 독창적인 상징을 만들어 내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적 상징은 독창적이고 기발한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면 윤동주의 <광야>에서 "지금은 눈 내리고 매화향기 홀로 아득하니"에서 '눈'은 일제의 가혹한 탄압을, '매화향기'는 불멸의 민족혼, 광복의 기운, 고고한 기상을 상징한다. 이와 같이 개인 상징은 그 내면성 혹은 상상의 세계를 강조하는데 그 의미가 모호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시 전체의 구조나 문맥에 의해 의미를 암시해야 한다. 또한 서정주의 <동천>에서 '님의 고운 눈썹'과 '매서운 새'가 핵심 이미지인데 이는 불교적 은유의 고도의 개인상징 수법의 시이다. '초승달'이나 '고운 눈썹'은 '염원이나 외경의 대상'을 상징하고, '매서운 새'는 '영원을 동경하는 인간의 정신'을 상징한다. 이 두 가지 상징으로 사랑과 그리움, 동경 같은 것을 상징한다. 서정주는 이러한 관념들을 '겨울 하늘을 나는 새'에 비유하여 구체화하고 있다.
· 상징을 구사하는 방법
첫째, 상징도 서정시와 마찬가지로 자아와 세계의 동일화에서 시작된다. 동화의 대상이 의도하는 바를 상징어에 유의하여 동화 이후의 세계로 한번 더 설정하여야 한다. 즉 동일화에서 상징이 되게 하는 의도적 장치를 설정해야 한다. 둘째, 반복을 하여 상징의 효과를 가져오게 한다. 즉 반복은 상징의 암시성을 높여준다. 셋째, 시적 대상을 병치적 상황을 연속 표현함으로써 상징의 효과를 가져온다. 넷째, 설화나 신화에 나타나는 원형 상징 이미지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 활용 시 유의점
따라서 시인은 상징법을 활용할 때에는 다음에 같은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1. 시의 주제와 감정, 문맥에 맞는 상징을 선택하여, 2. 동일한 상징을 반복하여 일관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3. 흔히 사용되는 상징보다 새롭고 독창적인 상징을 사용하여 나만의 독특함을 유지하여야 한다.
※ 지면관계상 이어지는 내용은 다음 시간에 계속하겠습니다.
시를 창작하는 방법 4 - 리듬과 운율이란? 음수율, 음보율, 각운, 내재율
'시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를 창작하는 방법 4 - 리듬과 운율이란? 음수율, 음보율, 각운, 내재율 (51) | 2024.12.02 |
---|---|
다시 태어나리라 - 변신과 재탄생 그리고 자유와 희망을 그린 시 (52) | 2024.12.01 |
시를 창작하는 방법 2 - 창조적 언어활동 비유법은? 직유법, 은유법, 의인법 (43) | 2024.11.28 |
시를 창작하는 방법 1 - 이미지 추출, 은유적 상상, 시의 구조, 묘사와 진술 (47) | 2024.11.28 |
첫눈 - 늦가을 쌀쌀한 날씨에 첫눈을 기다리며 그리운 추억을 그린 시 (48)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