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 대해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시를 쓸 수 있으며, 이왕이면 좋은 시를 쓰고 싶어 한다. 그러나 좋은 시를 쓴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만은 아니다. 좋은 시는 좋은 시 나름대로 갖추어야 하는 요건과 조건이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시를 창작하는 데 필수적인 창조적인 언어활동으로 비유적 시상전개에 많이 사용되는 비유법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비유법이란?
· 창조적인 언어활동
시에서 비유적 시상의 전개가 시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잘된 비유는 상황에 딱 들어맞는 비유로 시인의 메시지를 독자들의 머릿속에 생생하게 그림을 그리게 하는 '그림 효과'를 준다. 그리고 단어에는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비유의 힘을 상실한 '죽은 비유어'가 있다. 예를 들면 헌신짝, 쥐꼬리, 달덩이, 돈벼락 등은 죽은 비유어이다. 따라서 시인은 좋은 시를 쓰기 위해서 죽은 비유어가 아니라 상상력과 직관에서 나오는 '살아 있는 비유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즉 대상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새로운 감각으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 신선하게 표현하는 창조적인 언어활동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시인은 직관력을 높이기 위해 대상에 몰입하여 영감이나 이미지가 떠오르면 내 것으로 만드는 노력인 '즉시 메모'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 비유법(Figurative Language) 이란?
비유법은 사물이나 개념을 보다 생생하고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비슷한 성질을 가진 다른 사물이나 개념에 빗대어 표현하는 문학적 기법이다. 따라서 비유법은 의미의 이동과 전환을 가져오게 한다. 비유법에는 직유법과 은유법, 대유법(제유법, 환유법), 의인법, 의성법, 의태법 등이 있다. 좋은 비유가 가져오는 효과에는 다음이 있다. 1.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낸다. 2. 시인의 독창적이고 구체적인 인식을 가시화하며, 3. 풍부한 시적 의미를 암시해 준다. 4. 정서적 충격을 준다. 5. 대상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6. 시적 대상을 보다 선명하고 구체적으로 표현해 준다. 이러한 비유법을 잘 익히는 것이 좋은 시를 쓰는 지름길이 된다. 다음에는 시나 문학에서 자주 사용되며, 감정과 이미지를 더 생생하게 전달하는 대표적인 비유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 직유법(Simile)
"~처럼, ~같은, ~듯이, ~인 양" 등의 단어를 사용하여 원관념(A)의 어떤 사물을 보조관념(B)인 다른 사물에 비교하여 방법으로"B 같은 A"의 구조를 가진다. 직유는 형상 그리기 속성으로 설명이고 해설형식이다. 따라서 보조관념이 참신하여야만이 직유법이 더 생동감 있게 표현된다. 예를 들면 "그녀의 웃음은 햇살처럼 밝았다.", "그는 산처럼 든든했다.", "죽음처럼 깊은 잠", "새악시 볼에 떠도는 부끄럼 같이"
· 은유법(Metaphor)
은유법은 직유법과 달리 비교 표현 없이 두 가지 다른 사물을 직접 비교하는 방법으로 "원관념(A)은 보조관념(B)이다"의 구조를 가진다. 은유법을 사용하면 더 강렬하고 함축적인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은유는 많은 보조관념으로 전이되어 의미의 변이와 확장을 가져온다. 은유는 시의 품격을 높여주고 시의 의미를 더 높고 깊게 만들어 준다. 은유법이 시를 창작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비유법이다. 은유에는 감춤의 미학이 숨어있기 때문에 시에는 직유보다 은유가 더 신비하고 소중하게 느껴진다.따라서 시인이 좋은 시를 창작하려면 은유법을 잘 사용하여야 한다. 은유는 원관념과 보조관념 사이에 거리가 존재한다. 이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상투적인 표현이 되고, 너무 멀면 난해한 시가 된다. 따라서 시인은 거리가 너무 먼 주관적인 은유는 삼가고, 쉬우면서도 깊은 의미가 우러나오는 은유법을 구사하여야 한다. 또한 은유에서 '은유적 조어' 만들기는 단어에 신선한 생명력을 불어넣으므로 시 창작에 있어서 꼭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시인은 나만의 '은유적 조어' 만들기에 신경을 써야 한다. 예를 들면 '저울눈', '바늘귀', '보조개' 등이 있다. 은유법이 구사된 시는 독자들로 하여금 한번 더 생각하게 하고 오래 기억되고 깊은 여운을 남기게 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시간은 금이다.", "그의 목소리는 사자의 포효다.", "수필은 난이요, 학이요, 청초하고 몸맵시 날렵한 여인이다." 은유법의 종류에는 품사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명사 은유법 : 두 명사가 결합하는 형식으로 "마음의 꽃다발", "황금의 팔" 2. 형용사 은유법 : 명사와 형용사의 결합으로 "영원한 잠", "다시 돌아올 수 없는 여행" 3. 부사 은유법 : 부사와 형용사, 부사와 동사의 결합으로 "가혹하게 피어있는 꽃" 4. 동사 은유법 : '~이다', '~라고 한다', '~(이)런가'의 형식으로 "벚꽃은 봄에 내리는 눈이다.",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 당신은 흙발로 나를 짓밟았습니다.", "다정도 병이런가"
그리고 은유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치환은유(옮겨놓기) : 의미의 전이, 이동으로 두 사물 간의 비교가 아니라 자리바꿈으로 의미를 제시하는 것이다 즉, 포개어짐이다. "이상은 쌍두마차였고, 현실은 만가였다." 2. 병치은유(마주놓기) : 이질적인 사물들이 마주 보는 대립 상태로 병치는 한 사물을 설명하려는 의도가 아닌 새로운 분위기나 의미 창조가 목적이다. 즉, 통과함이고 이를 통하여 존재를 창조할 수 있다. "군중 속의 이 유령 같은 얼굴들, 젖은 검은 나무 가지 위의 잎사귀들" 한 행이 다른 행을 병치 은유하고 있다. 3. 확장은유 : 원관념의 뜻을 확장하게 하는 은유를 말한다. 4. 암시적 은유 : 원관념이 없이 보조관념만으로 원관념을 유추하게 하는 은유이다.
· 제유법(Synecdoche)
부분을 사용하여 전체를 나타내거나, 전체를 사용하여 부분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대상 전체 중에 하나로 같은 종류의 전체를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서 '들'은 '국토'를 의미한다. "그는 빵을 벌기 위해 일한다."에서 '빵'은 생계나 음식 전체를 의미한다. 또는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에서 '경찰'은 경찰관 한 명 또는 소수의 경찰관들을 의미한다.
· 환유법(Metonymy)
한 사물을 그 사물과 관련 있는 다른 사물로 대신하여 나타내는 방법으로 하나의 특징으로 유사한 다른 종류를 바꿔서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펜은 칼보다 무섭다."에서 '펜'은 '문화', '칼'은 '무력'을 말한다. 즉, 환유는 부분으로 전체를 대표하는 비유법이다. 예를 들면 '사각모'를 '대학생'에 비유하는 것이다. "백악관이 발표했다."에서 '백악관'은 미국 대통령이나 그의 행정부를 의미한다. "그는 검을 잡았다."에서 '검'은 무사나 전사를 의미한다.
· 의인법(Personification)
의인법은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처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사물이나 자연현상을 인격화하여 더 친근하고 감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람이 속삭인다.", "나무들이 춤을 춘다." 등이 있다. 의인법은 결국 하나의 장식품에 불과하기 때문에 아예 한 편의 시 전체를 의인법으로 쓰는 것이 오히려 더 멋진 시가 될 수 있다. 의인법은 정치 현실을 비판하는 참여시에서 많이 사용되는 비유법이다.
· 활유법(Animization or Reification)
무생물을 생물처럼 표현하는 방법으로 독자에게 상상력을 자극하고 생동감이 있는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발해는 안장을 벗고 가로누워 있었다.",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꽃들이 바람에 춤을 추듯 흔들렸다.", "산이 팔을 벌려 나를 환영하는 듯 보였다."
※ 지면관계상 이어지는 내용은 다음 시간에 계속하겠습니다.
시를 창작하는 방법 3 - 상징이란? 상징시에서 상징의 종류와 구사하는 방법
'시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태어나리라 - 변신과 재탄생 그리고 자유와 희망을 그린 시 (52) | 2024.12.01 |
---|---|
시를 창작하는 방법 3 - 상징이란? 상징시에서 상징의 종류와 구사하는 방법 (51) | 2024.11.30 |
시를 창작하는 방법 1 - 이미지 추출, 은유적 상상, 시의 구조, 묘사와 진술 (47) | 2024.11.28 |
첫눈 - 늦가을 쌀쌀한 날씨에 첫눈을 기다리며 그리운 추억을 그린 시 (48) | 2024.11.27 |
갈라진 마음 - 현실의 부조리와 편견을 비판하면서 새 세상을 기다리는 시 (45)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