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55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 줄거리와 헥토르 사망 후 이야기, 트로이 목마 는 와 함께 BC 800년경 장님 음유시인 호메로스의 작품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는 호메로스가 트로이 전쟁 후 오디세우스 왕이 10년에 걸쳐 고향 이타키아(이타카)로 귀향하는 중 겪는 모험에 대한 이야기를 본질적이고 탁월한 것만 노래하고 나머지는 제거하는 방법으로 재구성하여 노래한 총 24편으로 된 서사시이다. 여기에서는 호메로스의 에 나오지 않는 헥토르 사망 이후에서 오디세우스의 귀향 항해 전까지 이야기와 호메로스의 작품 의 배경과 줄거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작가소개 및 작품 배경 와 두 작품은 모두 작가는 호메로스이고 작품 배경은 트로이 전쟁이다. 상세한 것은 지난번에 설명한 호메로스의 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 파리스 헬레나 이피게네이아 엘렉트라 아가멤논 호메로스의.. 2024. 3. 2. 일리아스- 넷째 날 전투와 프리아모스, 헥토르의 장례(20~24권) 는 호메로스가 10년에 걸친 트로이 전쟁에서 마지막 50일 동안의 영웅들의 이야기를 노래한 총 24편의 장편 서사시이다. 그 구성은 1 ~ 2권 : 전투의 서막, 3 ~ 7권 : 첫째 날 전투, 8 ~ 10권 : 둘째 날 전투, 11 ~ 18권 : 셋째 날 전투, 19 ~ 22권 : 넷째 날 전투, 23 ~ 24권 : 전투의 마무리 헥토르의 장례식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넷째 날 전투와 마지막으로 헥토르의 죽음으로 전쟁이 마무리되는 이야기(20 ~ 24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제20~24권 넷째 날 전투 · 신들의 전쟁 제우스는 아킬레우스가 당장 트로이 성을 함락하지 못하도록 여러 신들이 전쟁에 관여하는 것을 허락한다. 아폴론이 아이네이스를 부추겨 아킬레우스에게 맞서게 한다.. 2024. 3. 2. 일리아스- 헥토르와 안드로마케, 대아이아스, 아가멤논과 화해(6~19권) 는 호메로스가 10년에 걸친 트로이 전쟁에서 마지막 50일 동안의 영웅들의 이야기를 노래한 총 24편의 장편 서사시이다. 그 구성은 1 ~ 2권 : 전투의 서막, 3 ~ 7권 : 첫째 날 전투, 8 ~ 10권 : 둘째 날 전투, 11 ~ 18권 : 셋째 날 전투, 19 ~ 22권 : 넷째 날 전투, 23 ~ 24권 : 전투의 마무리 헥토르의 장례식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호메로스의 의 헥토르와 아내 안드로마케에서 아가멤논과 화해(6~19권)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제6~7권 첫째 날 전투 · 아내와 이별하는 헥토르 아카이아군과 트로이아 군과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진행되는 중에 아테나의 도움을 받은 그리스 장군 디오메데스로 인하여 전황이 트로이 군에게 불리하게 돌아간다. 또한 그.. 2024. 3. 1. 일리아스- 아킬레우스 분노에서 아이네이아스 디오메데스 활약(1~5권) 는 호메로스가 10년에 걸친 트로이 전쟁에서 마지막 50일 동안의 영웅들의 이야기를 노래한 총 24편의 장편 서사시이다. 그 구성은 1 ~ 2권 : 전투의 서막, 3 ~ 7권 : 첫째 날 전투, 8 ~ 10권 : 둘째 날 전투, 11 ~ 18권 : 셋째 날 전투, 19 ~ 22권 : 넷째 날 전투, 23 ~ 24권 : 전투의 마무리 헥토르의 장례식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호메로스의 의 아킬레우스 분노에서 디오메데스 활약(1~5권)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제1~2권 전투의 서막 · 아폴론의 저주 역병 아카이아(고대 그리스)의 왕 아트레우스의 아들 아가멤논과 펠레우스의 아들 아킬레우스는 약탈전쟁으로 얻은 전리품 중 여자를 분배할 때 크리세이스는 아가멤논, 브리세이스는 아킬레우스의 .. 2024. 3. 1.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 파리스 헬레나 이피게네이아 엘렉트라 아가멤논 는 와 함께 BC 800년경 장님 음유시인 호메로스의 작품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는 호메로스가 10년에 걸친 트로이 전쟁에서 마지막 50일 동안의 영웅들의 이야기를 본질적이고 탁월한 것만 노래하고 나머지는 제거하는 방법으로 재구성하여 노래한 서사시이다. 이것은 서양문학의 최초이자 최고의 서사시로 BC 8세기경에 구전으로 전해지다가 BC 6세기경에 문자로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서는 호메로스의 작품 의 배경과 줄거리에 대하여 현재 많이 인용되고 있는 글이나 표현 위주로 알아보고자 한다. 작가소개 호메로스는 BC 8세기경 소아시아의 이오니아 지방 출신인 장님 유랑시인으로 그리스 영웅이며 음유시인인 오르페우스의 후손이라고 추정을 하나 실존인물인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그의 작품으로 와 가 있다고 알려진다.. 2024. 2. 29. 미궁 건설의 다이달로스와 아들 이카로스, 나르키소스와 수선화 다이달로스는 건축의 달인으로 크레타 섬의 왕비 파시파에에게 나무암소를 만들어 주고 그 결과 낳은 괴물 미노타우로스 가둘 수 있는 미궁 라비린토스를 건설하고, 아들 이카로스에게는 밀랍으로 만든 날개를 만들어 주어 떨어져 죽게 한다. 그리고 나르키소스는 복수의 여신 네메시스의 저주를 받아 물에 비친 자기 자신을 사랑하게 되어 죽게 되자 그 자리에 수선화가 핀다. 여기에서는 미궁 건설의 다이달로스와 아들 이카로스, 나르키소스의 나르시시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다이달로스와 아들 이카로스 · 다이달로스의 생애 다이달로스(데이달로스)는 대장간의 신 헤파이토스의 자손으로 어릴 때부터 손재주가 많아 '땅의 헤파이스토스'라고 불린다. 그는 그리스의 조각가, 발명가인 동시에 건축의 달인으로 올림포스 신상, 인공 저수.. 2024. 2. 26.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