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현고2

제16대 예종 - 생애와 즉위, 업적과 외교정책, 가족과 사망, 무학재, 동북 9성 고려 제16대 국왕 예종(睿宗, 1079 ~ 1122)은 숙종과 명의왕후 유씨의 장남으로 이름은 우(俁)이다. 재위기간은 1105년 11월부터 1122년 5월까지 16년 6개월이다. 예종은 아버지 숙종을 이어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신권을 억제하고 국정을 주도한다. 윤관을 보내 여진족을 격퇴하고 동북 9성을 쌓았으며, 국학에 칠재를 설치하고 장학재단인 양현고를 설립하여 학문을 장려한다. 대외적으로 송나라와는 친화외교, 금나라와 요나라 사이의 중립외교를 유지하여 국가 안정을 도모하였다. 따라서 예종은 학문, 문화, 국방에 많은 업적을 남긴 자주적인 왕권을 유지한 마지막 군주라 할 수 있다.  출생과 즉위· 출생과 즉위예종(睿宗, 1079 ~ 1122)은 숙종과 명의왕후 유씨 사이의 7남 4녀 중 장남으로 .. 2025. 3. 15.
제9대 성종실록 1 - 성종의 출생과 등극 및 도학정치와 태평성대, 정희왕후 조선의 제9대 국왕 성종(1457 ~ 1494)의 이름은 혈(娎)로 의경세자(덕종)의 둘째 아들 자을산군이며 어머니는 소혜왕후 한씨이다. 성종실록은 총 297권 150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469년 11월부터 1494년 12월까지 25년 1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원명은 '성종강정대왕실록'이다. 실록의 편찬은 성종사후 4개월 뒤 1495년 4월 춘추관에 실록청을 두고 편찬을 시작한다. 실록에는 김일손의 '사초'와 단종을 추모하고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난한 김종직의 '조의제문', 이극돈이 정희왕후 상중 기생과 놀아난 것을 비난한 김종직의 '화술주시'가 실려있어 연산군때 무오사화의 원인이 된다. 실록은 4년 6개월 만인 1499년 3월에 완성되어 네 곳의 사고에 보.. 2024.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