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제도2 제12대 순종 - 생애와 즉위 및 가족과 사망, 과거제도와 음서제도, 성릉 고려 제12대 국왕 순종(順宗, 1048 ~ 1083)은 문종과 인예왕후 이씨의 아들로 이름은 훈(勳)이다. 재위기간은 1083년 9월부터 1083년 12월까지 3개월 2일로 고려의 34명 국왕 중 가장 짧다. 순종은 고려 최고의 황금기를 이끈 문종의 장남으로 37세의 나이에 보위를 이었으나 너무 병약하여 재위 3개월 만에 사망한 비운의 군주이다. 생애와 즉위 · 생애순종(順宗, 1048 ~ 1083)은 문종과 인예왕후 이씨의 10남 2녀 중 장남으로 이름은 휴(烋)였다가 나중에 훈(勳)으로 개명한다. 순종은 어려서 병약하였으나 숙성한 용모와 자태가 뛰어났다. · 즉위 1053년 8세에 태자에 책봉되었다가, 1083년 9월 문종이 승하하자 37세의 나이로 왕이 된다. 그가 바로 고려 제12대 국왕 .. 2025. 3. 11. 제4대 광종 - 공포정치과 개혁정치 및 노비안검법과 과거제도, 쌍기, 균여 고려 제4대 국왕 광종(光宗, 925 ~ 975)은 태조 왕건과 신명순성왕후 유씨 사이에 태어난 태조의 넷째 아들로 이름은 소(昭)이다. 그의 재위기간은 949년 4월 친형인 정종으로부터 왕위를 선양받아 975년 7월 사망할 때까지 26년 3개월이다. 광종은 정적인 호적들을 숙청하고 노비안검법, 과거제도, 관료의 관복의 색깔을 정하는 등 강력한 왕권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따라서 그는 피의 군주인 동시에 실질적인 고려 왕조의 기틀을 만든 성군이기도 하였다. 광종의 출생과 등극· 출생과 어린 시절 광종은 태조 왕건과 신명순성왕후 유씨 사이에 태어난 태조의 넷째 아들이며, 정종의 친동생으로 이름은 소(昭)이다. 왕소는 어린 시절 형인 정종과 함께 이복형 혜종의 왕권을 위협하던 핵심인물이었으며, 평주 호.. 2025. 3.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