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조선왕조실록

제21대 영조실록 3 - 영조의 사망과 가족들 및 실학의 선구자 홍대용 안정복

by 이야기마을촌장 2024. 8. 15.

조선의 제21대 국왕 영조(1694 ~ 1776)의 이름은 이금(李昑)으로 숙종의 넷째 아들 연잉군이며, 어머니는 숙빈 최씨이다. <영조실록>는 총 15권 7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724년 8월부터 1776년 3월까지 51년 7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이다. 실록의 편찬은 1778년 2월에 시작하여 1781년 8월에 완성되었다. 편찬에는 총재관 김상철, 서명선, 이은, 이휘지, 정존겸를 비롯하여 총 183 명이 투입된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영조의 사망과 가족들 및 실학의 선구자 홍대용, 안정복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영조원릉

 

영조의 사망과 가족들

· 영조의 사망

영조는 어릴 적부터 여러 당쟁에 휘말려 온갖 고통을 겪었으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스스로 정국을 탕평정책으로 주도하여 위와 같이 여러 방면에서 발전을 이루게 하여 조선 후기의 문예 부흥기를 만들었다. 영조는 조선의 왕 중 가장 오랫동안 왕위에 있었으며 가장 오래 장수한 왕이다. 영조는 51년 7개월 동안의 재위기간을 끝내고 1776년 8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그의 능은 원릉으로 현재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소재하고 있다.  

 

· 영조의 가족들

영조는 평생 정성왕후 서씨를 비롯하여 6명의 부인에게서 2남 7녀의 자식을 두게 된다. 그의 부인과 자식으로는 정성왕후 서씨, 정순왕후 김씨에게는 자식이 없고, 정빈 이씨에게서 1남 1녀(진종(효장세자), 화순옹주), 영빈 이씨에게서 1남 3녀(장조(사도세자), 화평, 화협, 화완옹주), 귀인 조씨에게서 1녀(화유옹주), 숙의 문씨(폐출)에게서 2녀(화령, 화길옹주)를 가진다.

 

· 정성왕후 서씨(1692 ~ 1757)

달성부원군 서종제의 딸로 13세의 나이로 연잉군과 결혼하여 달성군부인으로 봉해지고, 1721년 연잉군이 세제로 책봉되자 세자빈이 된다. 1724년 영조가 왕이 되자 왕비에 봉해진다. 슬하에 자식이 없으며, 1757년 6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그녀의 능은 홍릉으로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하고 있다. 

 

· 정순왕후 김씨(1745 ~ 1805)

오흥부원군 김한구의 딸로 정성왕후가 죽자 15세의 나이로 66세의 정조와 가례를 올려 왕비가 된다. 그녀는 영빈 이씨 소생의 장헌세자(사도세자)를 미워하여 아버지 김한구의 사주를 받아 모함을 한다. 나경언이 사도세자의 10가지 비행을 상소하자 사도세자를 폐위시켜 뒤주에 갇혀 굶어 죽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조정이 사도세자를 당연시하는 벽파와 동정하는 시파로 나누어지자 시파를 미워하고 벽파를 옹호한다. 정조가 죽고 어린 순조가 즉위하자 수렴청정을 하였으며, 이때 벽파인 공서파와 결탁하여 시파인 신서파 대신들을 모함하고, 신서파가 많이 관여한 천주교에 대한 금압령을 내린다. 이 과정에 이가환 등은 옥사당하고, 정약종 등은 처형당하였으며, 정약전, 정약용 형제는 전라도로 유배당한다. 그리고 종친 은언군과 부인, 며느리 등은 같은 이유로 사사당한다. 그녀는 강력한 정치권력을 휘두르다가 1805년 61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그녀의 능은 원릉으로 영조와 함께 경기도 구리시에 있다. 

 

· 효장세자(1719 ~ 1728)

영조의 맏아들로 정빈 이씨의 소생이다. 부인은 좌의정 조문명의 딸로 효순왕후이다. 1724년 경의군에 봉해지고 이듬해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1728년 10세에 병으로 사망한다. 양자인 정조가 즉위하자 효장세자는 진종으로 추존된다. 능은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영릉이다. 

 

· 사도세자(1735 ~ 1762)

영조의 둘째 아들로 세자 선이며 어머니는 영빈 이씨이다. 이복형인 효장세자가 일찍 죽고 영조의 나이가 42세에 태어난다. 따라서 일찍 2세에 세자가 되고, 1744년 10세에 홍봉한의 딸 혜빈 홍씨와 결혼을 한다. 그는 너무 총명하여 3세에 <효경>을 외웠으며, 7세에 <동문선습>을 독파하고, 10세에 신임옥사를 비판하였다. 그리고 1749년 15세에 부왕 영조를 대신하여 대리청정한다. 이때 노론과 정순왕후 김씨, 숙의 문씨 등의 무고와 이간질로 영조로부터 자주 심한 꾸지람을 들은 후  정신 이상 증세를 보인다. 세자는 영조 몰래 궁을 빠져나가 관서 지역을 유람하고 돌아온다. 이때 정순왕후 아버지 김한구와 노론일파의 사주를 받은 나경언의 세자 비행 10조목의 상소로 영조의 노여움을 사서 뒤주에 갇혀 28세의 나이로 굶어 죽게 된다. 그의 무덤은 처음 경기도 양주 배봉산 아래에 있다가 정조 때 수원 화산으로 이전되어 현릉원이라 하였다가 다시 장조로 추존된 후 융릉으로 정해진다.

※ 상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고하세요. 제21대 영조실록 2 - 영조의 탕평정책과 업적, 이인좌의 난 사도세자 사건

 

제21대 영조실록 2 - 영조의 탕평정책과 업적, 이인좌의 난 사도세자 사건

조선의 제21대 국왕 영조(1694 ~ 1776)의 이름은 이금(李昑)으로 숙종의 넷째 아들 연잉군이며, 어머니는 숙빈 최씨이다. 는 총 15권 7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724년 8월부터 1776년 3월까지 51

bong3614.tistory.com

 

· 혜빈 홍씨(혜경궁 홍씨 1735 ~ 1815)

영의정 홍봉한의 딸로 정조의 어머니이다. 그녀는 1744년 세자 선(사도세자)과 가례를 올려 세자빈이 된다. 1762년 사도세자가 죽자 혜빈으로 추서 된다. 1776년 아들 정조가 왕위에 오르자 혜경으로 올랐으며, 1899년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자 경의왕후에 추존된다. 그녀는 아버지 홍봉한과 숙부 홍인한이 세자의 살해를 지지하고 있어서 세자의 억울한 죽음을 그냥 지켜보고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녀는 억울한 남편의 죽음을 참담한 마음으로 바라보아야만 하는 한 많은 자신의 삶을 직접 적은 자서전적인 소설 <한중록>을 남긴다. 이는 우리나라 궁중 문학의 효시가 된다.

 

 

실학의 선구자들

· 순암 안정복(1712 ~ 1791)

안정복(安鼎福)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 역사가, 수필가입니다.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 한산병은, 우이자, 상헌이다. 그는 충청도 제천에서 태어났으며, 예조참의 안서우의 손자이고, 오위도총부부총관을 지낸 안극의 아들이다. 그의 집안은 전통적인 남인 가문으로 당쟁으로 아버지 때부터 벼슬길이 끊겼다. 그는 어려서부터 경학은 물론 역사, 천문, 지리 등 다양한 식견을 가지게 된다. 그렇지만 단 한 번도 과거에는 응시하지 않았다. 그는 스스로 닦은 학문을 바탕으로 <치통>, <하학지남>, <여범> 등을 저술한다. 그리고 35세에 부진한 학문을 공부하기 위해 스스로 남인 출신인 이익(당시 65세)의 문하에 들어가 실학과 성리학을 연구하였다. 그의 뛰어난 능력이 소문이 나 1749년 38세의 나이로 처음 관직에 나아간다. 영조의 별장 만령전의 참봉으로 시작하여 65세에 목천현감이 된다. 이 시기에 경기도 광주의 역사와 지리를 담은 <광주지>, 지방행정에 대한 책인 <임관정요> 등을 저술한다. 그는 정조의 세손 시절 스승 중 한 사람으로 천주교가 보급되자 이를 경계하고 비판하였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45세인 1956년에 시작하여 1959년에 완성한 단군조선부터 고려말까지의 역사를 다룬 총 20권의 역사서 <동사강목>, 이익의 <성호사설>을 해석하고 일부 수정한 책 <성호사설유선>, 다양한 지식을 담은 책으로, '잡동사니'라는 단어의 어원이 된 책 <잡동산이> 등이 있다. 18세기 후반을 살면서 많은 저서를 남기고 사상적으로 고민을 하였던 안정복은 1791년 8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 담헌 홍대용(1731 ~ 1783)

홍대용(洪大容)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과학사상가입니다.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덕보(德保), 호는 담헌(湛軒)이다. 그는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났으며, 대사간 홍용조의 손자이고, 서인 노론파인 목사 홍역의 아들로 김원행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으며, 박지원, 박제가 등 북학파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담헌서>, <의산문답>, <연기> 등이 있다. 그는 여러 차례 과거에 실패한 후 43세에 음보로 관직에 처음 진출하여 세손익위사시직, 선공감감역, 사헌부감찰, 태인현감, 영천군수 등을 역임한 후 5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그는 1765년 연행사의 일원으로 북경을 3개월 동안 방문하여 중국 학자 및 서양 선교사들과 교류하며 서양 문물을 접하고 큰 영향을 받는다. 특히 북경에서 청나라 국립천문대인 '흠천감'의 관상대에 들어가 밤을 새운다. 이러한 그의 방문 내용을 <열하일기>에 기록한다. 그리고 북경 방문에서 얻은 과학적 지식을 담은 <의산문답>을 저술한다. 또한 그는 '지구자전설' '우주무한론'을 주장하여 인간도 대자연의 일부로 다른 생물과 다를 바가 없는 존재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중국 중심의 화이론을 부정하고 민족의 주체성을 강조하였으며, 신분과 계급에 관계없이 균등한 교육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