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조선왕조실록

제3대 태종실록 2 - 태종의 가족들 및 태종 때 벌어진 주요한 사건들

by 이야기마을촌장 2024. 7. 25.

조선의 제3대 국왕 태종(1367 ~ 1422)은 정안대군 방원으로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이다. 태종실록은 총 36권 16책으로 구성되며 그의 재위기간 1401년 11월부터 1418년 8월까지 17년 10개월 동안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을 편년체로 적은 역사서로 원명은 '태종공정대왕실록'이다. 실록의 편찬은 태종이 죽자 변계량과 윤회가 1422년 시작하여 편찬도중 변계량이 죽자, 황희와 맹사성이 참여하여 1431년에 완성된다. 여기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지면관계상 하지 못하였던 태종의 가족들과 태종 때 벌어진 주요 사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태종어진

 

태종의 가족들

· 양녕대군(1394 ~ 1462)

양녕대군은 태종 이방원의 장남으로 부인은 광산 김씨 김한로 딸 김씨이다. 양녕은 1404년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나 자유분방한 성격으로 궁중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사냥이나 풍류에 빠져 아버지 태종의 노여움을 받는다. 그 결과 1418년 세자에서 폐위되고 동생 충녕대군이 왕이 된다. 그 후 양녕은 세종과는 우애가 지극히 깊어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으나, 수십 차례나 탄핵이 된다. 그러나 세종은 단 한 번도 그를 처벌하지 않는다. 그는 천명을 누리고 살다가 69세의 나이로 사망을 한다. 

 

· 효령대군(1394 ~ 1462)

태종 이방원의 둘째 아들로 부인은 정역의 딸 예성부부인이다. 효령은 형님 양녕이 세자에서 폐위되자 자신이 세자자리를 넘겨받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나 동생 충녕이 세자로 책봉되자 스스로 절에 들어가 불교에 심취한다. 그 후 그는 <반야바라밀다심경>을 언해하고 <원각경>을 수교한다. 그는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여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 등 여섯 왕을 거치면서 91세까지 장수한다. 그는 불교를 숭상하여 유생들로부터 많은 지탄을 받았지만 불교발전에 큰 기여를 한다.

 

 

주요한 사건들  

· 민무구 형제의 옥

태종은 재위 약 18년 동안 4번이나 선위 파동을 일으킨다. 제1차 선위 파동은 1406년 태종이 건강상의 문제로 세자 양녕에게 선위하겠다고 뜻을 표명하면서 시작한다. 태종이 잉첩을 가까이 하자 이에 심한 질투와 시기를 하는 원경왕후 민씨와의 불화가 잦았다. 그러던 중 태종이 양녕에게 선위를 표명하자 원경왕후 민씨의 동생인 민무구 형제는 세자인 양녕을 찾아가 불만을 토로한다. 이것이 화근이 되어 민무구, 무질 형제는 어린 세자 양녕을 포섭하여 집권을 획책하려 했다는 협유집권(挾幼執權)의 혐의를 받게 된다. 결국 태종은 민무구를 연안에 방치하고 19일 후 공신녹권을 빼앗고, 4개월 후에는 직첩을 수취하여 서인으로 전락시키고 여흥으로 유배를 보낸다. 결국 유배 중에 민무구 형제는 자진하고 만다. 그 후 그의 형제들이 억울함을 호소하자 무휼, 무회 형제도 사사하였으며 그들의 처자도 변방으로 내쫓는다. 

 

· 육조직계제 실시

태종의 세제 때부터 왕권강화책의 일환으로 육조직계제를 강력하게 추진한다. 육조는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의 육조의 장관을 정 3품에서 정 2품 판서로 높이고, 의정부의 기능을 축소시킨다. 이는 과거에 국정이 의정부를 거치던 '왕 - 의정부 - 육조' 체제이던 것을 '왕 - 육조' 체제로 전환하면서 중앙집권으로 왕권을 강화하여 왕조의 안정을 이룬다.

 

· 거북선 개발

태종 때 좌대언 탁신의 상소의 기록을 보면 '거북선을 적과 충돌하더라도 적이 해칠 수 없도록 견고하고 정교하게 만들어 전승의 도구로 갖추어야 한다'라는 내용이 나온다. 이는 왜구의 침입이 빈번하였던 태종말기 왜구와의 수전에 대비하거나 대마도 정벌 같은 왜구토벌작전을 위하여 돌격선으로 제작된 특수 장갑선이라 추정된다. 

 

· 신문고 설치

신문고는 1401년 8월 송나라의 등문고를 본떠 만든 것으로 백성이 억울한 일을 당하였을 때 자유롭게 청원할 수 있는 제도이다. 이는 재상중심의 정치를 약점을 극복하고 백성들의 안정된 삶을 추구하여 국가의 안정과 국왕을 중심으로 한 정치를 실현하려고 하는 태종의 마음이 잘 구현된 제도이다.

 

· 한양 천도

조선은 건국초기에 세 번이나 수도를 옮겼다. 태조 3년 개경의 기운이 다하였다는 이유로 한양으로 천도하였다가, 1398년 정종 1년 한양의 시설이 미비하여 신민들이 개경을 그리워하고, 제1차 왕자의 난의 골육상잔이 참변이 일어나자, 한양을 버리고 다시 개경으로 천도한다. 그러나 개경에서 다시 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정종은 세제인 방원에게 왕권을 물려준다. 태종 1년 방원은 등극하자마자 수도를 한양으로 천도하려고 하였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실패한다. 태종 5년 1404년 9월 경복궁이 준공되자 한양천도를 단행한다. 이후 한양은 5백 년 동안 조선의 문화, 정치, 경제의 중심 도시가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