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드라2

인도 신화 1 - 베다시대와 힌두시대 및 세계관과 주요 신들, 다르마 카르마 인도 신화(힌두 신화)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하고 복잡한 신화 체계 중 하나로, 오래된 종교인 브라만교와 힌두교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인도 신화는 다양한 신, 베다 경전, 서사시, 깊은 철학적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다르마(Dharma)는 정의로운 의무, 카르마(Karma)는 인과의 법칙을 나타내며 삶과 우주의 질서를 설명한다. 이러한 개념은 인도 신화의 이야기와 신들의 행동에도 내재되어 있다. 인도 신화는 고대 인도인의 세계관과 삶을 반영하며, 베다 시대와 힌두 시대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예술, 문학, 철학, 종교 등 인도 문화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 신화 속 존재와 사건들은 삶의 깊은 의미를 상징하며, 오늘날에도 인도 사람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베다시대와 힌두시대.. 2025. 4. 17.
티벳 사자의 서 - 우주론, 칼 구스타프 융의 해설, 여섯 바르도의 서시 지난 시간에는 의 사후 세계와 심판 그리고 환생 사상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우리는 깨달음을 얻어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면 살아있을 때 정신적으로 준비하여야 하는 것이 있다. 그러한 답이 여섯 바르도의 서시에 잘 나타나 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티벳 불교의 우주론과 티벳 사자의 서에 대한 칼 구스타프 융의 해설 및 여섯 바르도의 서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우주론 힌두교 바라문 사상에서 유래한 불교의 우주론은 다음과 같다. 우주의 중심에 있는 수미산은 일곱 겹의 황금산과 일곱 겹의 바다 향수해(연꽃이 피는 바다)로 둘러 쌓여 있다. 그리고 네 개의 대륙인 사대주가 있다. 4대주는 동승신주, 남염부제(남섬부주 우리가 사는 지구), 서우화주, 북구로주을 말한다. 그 바깥에 우리 우주가 있다. .. 2024.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