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김해경)의 <날개>는 일제강점기의 어두운 현실 속에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무기력한 지식인의 모습인 주인공을 통해 당시 지식인이 나아가야할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작가는 사회적인 문제점을 의식의 흐름이라는 새로운 기법으로 주인공의 정신적인 내면의식의 흐름을 보여줌으로써 소설의 이야기를 전개시켜 나간다. 여기에서는 소설 <날개>의 작가 이상의 소개와 줄거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작가 소개
김해경(이상 1910~1937)은 이상의 본명으로 시인, 소설가, 수필가로 한국 근대문학의 초현실주의, 모더니즘의 작가이다. 그는 가난한 이발사인 아버지 김연창의 장남으로 태어나 큰아버지의 집에 입양되어 한학을 공부하였다. 1929년 경성고등학교 건축과를 수석으로 졸업한 후 조선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수로 취직을 한다. 그는 폐결핵으로 직장을 그만두고 요양차 온천으로 간다. 그곳에서 기생 금홍을 만나 종로에 '제비'라는 다방을 차리고 그녀와 동거생활을 한다. 1935년 금홍과 헤어진 후 1936년에 전부터 알고 있던 변동림과 결혼하고 도쿄로 유학 가서 불령선인으로 구금된다. 그 후 구금으로 인하여 폐결핵이 악화되어 결국 1937년 도쿄제국대학 병원에서 27살의 나이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그의 작품에는 1930년 유일한 장편소설 <12월 12일>, 1932년 단편소설 <지도의 암실>, 1934년 시 <오감도>, 1936년 단편소설 <날개> 등이 있다.
※ 이상(김해경)의 12월 12일 - 비극적 운명론, 허무주의, 장편소설
줄거리
주소 33번지에 18 가구가 다닥다닥 모여사는 사는 집이 있다. 대문에서 일곱째 칸에 아내 명패가 붙은 방에 아내와 주인공인 내가 산다. 가운데 장지로 두 칸으로 나누어진 방 중 윗방이 주인공이 자는 방이다. 아내가 외출하면 나는 햇빛이 드는 아랫방에 와 돋보기로 휴지를 태우는 불장난, 거울 장난, 화장품 장난을 하며 화려한 아내의 방에서 시간을 보낸다. 아내는 손님이 방문하고 가면 나에게 은화(오십 전)를 준다. 은화가 점점 머리맡에 쌓이자 아내는 벙어리 저금통을 사준다. 나는 아무 필요가 없는 은화를 벙어리 저금통에 모으기만 한다. 하루는 벙어리 저금통을 변소에 가져다 버린다. 어느 날 아내가 외출하여 없을 때 주인공은 밖으로 나가 온 거리를 헤매다 피로를 느껴 집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자기 방으로 가려면 아내의 방을 거쳐야만 한다. 너무 피로한 나머지 그냥 손님이 있는데도 그대로 아내의 방을 지나 자기 방으로 들어간다. 그 일로 주인공은 혼날 줄 알았는 데 아내는 아무 말도 없이 그냥 지나간다. 모은 은화로 바꾼 지폐 5원을 주고 처음으로 아내 방에서 잠을 자게 된다. 그 일이 있은 후 종종 아내 방에서 자게 될 때마다 주인공은 지폐를 준다.
하루는 나는 경성역에서 비를 흠뻑 맞고 집으로 돌아가게 되었는데 그때 아내와 손님의 못 볼 장면을 목격하고 만다. 그날 주인공은 감기를 심하게 걸려 앓게 된다. 그러자 아내는 외출을 금지하였고 나는 한 달 동안이나 매일 아스피린을 먹고 밤낮으로 잠만 잔다. 감기에서 회복된 어느 날 아내의 방에서 수면제 아달린 갑을 발견한다. 아내가 한 달 동안 아달린을 주었다는 의심에 빠져 몸부림치던 나는 조용한 벤치에 가서 남은 아달린 여섯 알을 한꺼번에 삼켜 버린다. 하루 밤낮은 잠을 자다 깨어난 나는 지나온 26년을 돌이켜 보면서 정신없이 거리를 헤맨다. 백화점 미쓰꼬시 옥상에 주저앉은 나는 아내에게 가야 하나 가지 말아야 하나 복잡한 상념에 빠진다. 그때 멀리서 정오를 알리는 사이렌이 뚜~우하고 울린다. 주인공은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 한 번만 더 날아보자꾸나."라고 외친다. 이 장면을 마지막으로 소설은 끝을 맺는다.
맺음말
이상의 소설 <날개>는 작가 이상이 종로 1가에 다방 '제비'를 차려 기생 금홍과의 동거 생활한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이다. 천재이지만 아내가 매춘을 하는지도 모르는 무능력한 인간이며 타락한 지성인 주인공(작가)이 다시 한번 맑은 정신으로 깨어나 자신 있는 새로운 삶을 살기를 희망하는 내용의 소설이다. 주인공이 외치는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날자. 한 번만 더 날자꾸나. 한 번만 더 날아보자꾸나."라는 독백은 독자들로 하여금 일제감점기 어두운 현실 속에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살아가던 무기력한 지식인의 모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발전과 변화를 찾아 나아가야 한다는 희망을 던져주고 있다. 이 마지막 독백을 두고 주인공이 자살을 하였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그것은 독자들의 상상에 맡기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
'책감상 > 한국명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벨문학상 수상한 한강의 소년이 온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동호 (15) | 2024.11.06 |
---|---|
노벨문학상 수상한 한강의 채식주의자 - 채식주의자, 몽고반점, 나무불꽃 (16) | 2024.11.05 |
김별아의 미실 - 세종 동륜 진흥왕 진지왕(금륜) 진평왕, 사다함 설원랑 (67) | 2024.05.16 |
이상(김해경)의 12월 12일 - 비극적 운명론, 허무주의, 장편소설 (184) | 2024.01.27 |
조정래의 인간 연습 - 비전향 장기수 윤혁의 새로운 삶, 행복은 어디에? (0)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