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삼국유사

선덕여왕(덕만) 세가지 예언, 김유신과 추남, 문명왕후 문희, 거타지 설화

by 이야기마을촌장 2024. 5. 17.

<삼국유사>는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승려 일연이 인각사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야사인 역사서로 전체 5권 9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여기에서는 일연의 <삼국유사>에 나오는 선덕여왕(덕만) 세가지 예언, 김유신과 추남, 문명왕후 문희, 거타지 설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선덕여왕

 

선덕여왕 세가지 예언

· 향기없는 모란꽃
첫째는 향기없는 모란꽃 이야기로, 당나라 태종이 붉은색. 자주색. 흰색의 세  가지 색으로 그린 모란의 그림과 모란 씨 석 되를 함께 신라에 보내왔다. 선덕여왕(덕만)은 꽃그림에 벌과 나비가 없는 것을 보고서 그 꽃이 향기가 없음을 예언하였는데, 이듬해 핀 그  모란은 과연 향기가 없었다는 이야기이다. 일연(一然)은 삼색 모란꽃은 신라에 선덕(善德). 진덕(眞德). 진성(眞聖)의 세 여왕이 있을 것임을 당태종이 예측하고 맞춘 당태종의 지혜와 선덕여왕이 불경이나 주역에 조예가 깊었음을 알려주는 설화이다.

 · 옥문지 개구리
둘째는 몰래 침략한 적군을 미리 알아 섬멸한 이야기로, 영묘사(靈廟寺)근처 옥문지(玉門池)에는 겨울인데도 많은 개구리가 삼사일 동안 떼 지어 울어 신하가 이 사실을 여왕에게 알리니, 선덕여왕은 서교(西郊) 여근곡(女根谷)에 백제 군사 500 명이 숨어 매복하고 있는 것을 알아내고 군사를 보내어 적을 섬멸하도록 하였다는 이야기이다. 선덕여왕은 노란 개구리는 병사의 형상이며, 옥문은 여자의 상징으로 음(陰)이며, 백색은 서쪽을 가리키므로 서교 여근곡에 적군의 매복 있음을 알아 내었다.

 · 선덕여왕의 무덤 도리천
셋째는 왕이 자신의 죽을 날을 미리 안 이야기로, 왕은 생전에 자신의 죽을 날을 예언하며 도리천에 장사지내달라고 말한다. 그러자 신하들은 도리천이 어딘 지를 몰라 물으니 왕이 대답하기를 낭산 남쪽이라고만 한다. 선덕여왕은 과연 예언한 날에 세상을 떠나고 신하들은 낭산 남쪽에 묻고 장사를 지낸다. 그로부터 10년 뒤 문무왕이 사천왕사(四天王寺)를 선덕여왕의 무덤 아래 세운다. 불경에 사천왕사 위에 도리천이 있다 하였으니, 신하들도 그제야 선덕여왕의 예언이 적중함을  알게 된다.  

 

 

김유신과 문명왕후 문희 

· 김유신과 추남 

김유신이 국선이 되어 고구려와 백제를 치려고 모의하던 중에 백석이라는 낭도로부터 적국을 염탐하고 오자는 제의를 받아 밤에 길을 가던 중, 고개 위에서 우연히 세 명의 여자를 만나게 된다. 서로 이야기를 나누다 친해졌을 즈음 여자들은 잠시 백석을 두고 숲에서 긴히 할 말이 있다며 유신을 데리고 들어간다. 그리고 세 명의 여자들은 신의 모습으로 현신하여 백석은 적국의 사람으로 유신을 꾀어 적지로 데려가려 한다고 경고한 후 사라진다. 골화관에 이르러 유신은 백석에게 긴요한 문서를 잊고 왔다며 집으로 돌아온 뒤, 백석을 잡아 문초하여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백석은 원래 고구려 사람으로, 영양왕때 고구려에서 국경의 강물이 역류하는 괴변이 생기자 고구려의 왕은 추남이라는 점쟁이를 불러 점을 치게 했다. 추남은 '왕비가 음양의 도를 거스른 까닭에 이런 변고가 생겼다'라는 점괘를 내놓았다. 이에 노한 왕비는 다른 것으로 시험해 보자고 주장한다. 고구려왕은 쥐 한 마리를 상자에 숨겨놓고 추남에게 상자에 든 것을 맞히게 한다. 추남은 상자 안에 쥐가 들어 있다고 말하면서 그 숫자는 한 마리가 아닌 여덟 마리라고 대답한다. 결국 처형당하게 된 추남은 "반드시 다른 나라의 대장으로 환생해,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말겠다."라는 저주의 말을 남기고 처형당한다. 그를 죽이고 나서 왕이 쥐의 배를 갈라보게 하니 쥐의 뱃속에는 새끼가 일곱 마리 들어있는 것이었다. 그제야 왕은 추남의 점이 사실임을 알고 후회한다. 그날 밤 고구려왕은 처형당한 추남이 신라 김서현의 부인의 품에 들어가는 꿈을 꾸었고, 추남이 신라에서 김유신으로 환생했다고 판단한 고구려왕과 그 신하들은 백석을 시켜 유신을 꾀어 죽이려 했던 것이다. 유신은 백석을 처형한 뒤 자신을 구해준 세 신들에게 제사지내어 그 은혜에 감사하였다. 그 세 신은 실은 내림·혈례·골화 세 지역의 신으로, 이후 신라에서는 국가 제사에서 시조묘나 종묘 다음으로 격이 높은 대사(大祀)로서 우대하였다.

 

· 문명왕후 문희

김유신에게는 보희와 문희라는 두 명의 누이가 있었다. 어느날 언니인 보희가 꿈에 서악에 올라가 오줌을 누니 서울 장안이 오줌에 잠기는 꿈을 꾼다. 이튿날 아침 아우인 문희에게 꿈 이야기를 하니 문희는 그 꿈을 사기를 소원하여 비단 치마 한 벌을 주고 옷자락을 벌려 꿈을 사들이게 된다. 그 뒤 김유신이 김춘추와 같이 정월 오기일(午忌日)에 자기 집 앞에서 축국(蹴鞠)을 하다가 일부러 김춘추의 옷을 밟아 옷끈을 떨어뜨리고 제 집에 들어가 달자고 한다. 이에 김유신이 맏누이 보희에게 꿰매게 했으나 보희가 이를 거절한다. 이에 막내누이 문희에게 다시 부탁하니 문희는 그 뜻을 알고 옷고름을 달아 준다. 그 뒤부터 김춘추가 자주 내왕해 문희는 임신하게 되었다. 김유신이 "처녀가 임신을 하다니 집안을 욕되게 하였다며 태워 죽임이 마땅하다."라고 말하며 난리를 피운다. 소문은 순식간에 서라벌에 퍼진다. 하루는 선덕여왕이 행차하는 것을 기다려 마당에 장작더미를 쌓고 불을 질러 태워 죽이려 한다. 왕이 이를 보고 측근에게 누구의 소행인가를 다그쳤다. 왕은 김춘추의 안색이 돌변한 것을 보고는 문희를 구하고 춘추와 혼례를 행하게 한다. 김유신의 막내누이 문희가 신라 제29대 태종무열왕의 비인 문명왕후이다. 이 설화는 ‘서악사뇨몽(西岳捨溺夢)’, ‘선류몽(旋流夢)’ 또는 "문희매몽설화'이라고도 한다.

 

 

거타지 설화

진성여왕은 남편 위홍 각간과의 막내아들인 아찬 양패가 당나라에 사신으로 갈 때에 후백제의 해적이 진도에서 길을 막는다는 말을 듣고, 궁수 50명을 뽑아서 그를 따르게 한다. 배가 곡도(鵠島)에 닿으니 풍랑이 크게 일어나 열흘 이상 묵게 되었다. 이에 공은 섬에 신지(神池)라는 못 위에 제물을 차려 제사를 지내니 못 물이 한 길 남짓이나 솟아올랐다. 그날 밤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 공에게 “활 잘 쏘는 사람 하나를 이 이 섬 안에 남겨두면 순풍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한다. 이에 공은 여러 사람에게 물어보니 그들은  “나뭇조각 50쪽에 우리 이름을 각각 써서 물속에 가라앉게 함으로써 제비를 뽑는 것이 좋겠습니다.”라고 말한다. 공은 그 말에 따랐다. 군사 중 거타지(居陁知)란 사람의 이름이 쓰인 나뭇조각이 물속에 가라앉았다. 그 사람을 남겨두니 순풍이 불어 배는 지체 없이 잘 나갔다. 거타지가 근심에 잠겨 섬에 서 있는데, 갑자기 한 노인이 못에서 나와 “나는 서쪽 바다의 신(神)이오. 매일 중 하나가 해 뜰 때면 하늘에서 내려와 다라니 주문을 외우고 이 못을 세 번 돌면 우리 부부와 자손들이 모두 물 위에 뜨게 되는데, 중은 내 자손의 간을 빼먹곤 하오. 이제 우리 부부와 딸 하나만 남았소. 내일 아침에 또 반드시 올 것이니 그대는 중을 활로 쏘아주시오.”라고 부탁한다. 그러자 거타지는 “활 쏘는 일은 나의 장기이니 명령을 받들겠습니다.”라고 대답하자, 노인은 그에게 고맙다고 하고는 물속으로 들어갔다. 거타지는 숨어서 기다렸다. 이튿날 동쪽에서 해가 뜨니 과연 중이 와서 그전처럼 주문을 외면서 늙은 용의 간을 빼내려고 했다. 이때 거타지는 활을 쏘아 중을 맞혔다. 그러자 중은 즉시 늙은 여우가 되어 땅에 떨어져 죽었다. 이에 노인이 물속에서 나와 치사를 했다. “공의 덕택으로 생명을 보전하게 되었으니 내 딸을 공에게 아내로 드리겠소.”라고 말한다. 이에 거타지는 “저에게 따님을 주시고 저버리지 않으시니 원하던 바입니다.”라고 대답한다. 노인은 딸을 한 송이 꽃으로 변하게 하여 거타지 품속에 넣어주었고, 이내 두 마리 용을 시켜 거타지를 받들고 사신의 배를 따라가서 그 배를 호위하여 당나라 지경에 들어가게 했다. 당나라 사람은 신라의 배를 두 용이 받들고 있음을 보고 사실대로 황제에게 아뢰었다. 황제는 “신라의 사신은 정녕코 비상한 사람이다.”라고 말하며 잔치를 베풀어 여러 신하의 윗자리에 앉히고 금과 비단을 후하게 주었다. 거타지는 고국에 돌아와 꽃가지를 내어 여자로 변하게 한 다음 오랫동안 함께 살게 된다.

 

 

※ 지면관계상 이어지는 내용은 다음 시간에 계속하겠습니다.
 

반응형